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5년 3월 23일 작성 됨
Q.
왜 어떤 기업의 주식은 적자를 내도 오르는데, 어떤 기업은 흑자에도 내리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기업의 경우 흑자더라도 향후 미래가치보다 높게 주가를 끌어올렸다면 오히려 조정가능성이 높습니다.보통 세력들이 흑자를 예상하고 각종 기대감에 주가를 끌어올리는데 이때 개미들이 생각보다 붙어준다고 생각되면예상 기준치보다 높게 끌어올리고 막상 발표일에 쭉 빼면서 수익을 챙기는 수법이 많습니다.
자산관리
2025년 3월 23일 작성 됨
Q.
인생에서 돈이 차지하는 비율은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사실 돈이라는 것은 교환 가치이며 주관적 요소이지만 현실인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실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돈이 없는 경우에는 심리적 불안감, 자존감 등에 영향을 미치면서 삶의 불편함이 커지게되며 날로 발전하는 사회에서 배움이 부족해져 오히려 사기나 범죄에 취약할 가능성이 높아지죠. 그렇기에 불행하지 않으려해도 상황이 그렇게 만드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반면 돈이 많다고 무조건 행복하지 않는데 보통 돈이 1억,2억 쌓일땐 행복의 수치가 높아지게됩니다.그러나 이것이 몇십억 백억단위가 된다면 그 위로 더 버는 것에 대한 행복수치가 미비하게 되죠. 무뎌지게 되는 것입니다.그리고 오히려 사기꾼들이 득실대고 본인을 돈으로만 보기에 사람을 볼때 의심부터 하게 되고 돈이 없을 때와 다른 스트레스와 불안감이 자리잡게 됩니다.그래서 이혼전문 변호사들의 조사를 통해 보면 이혼률이 높을 때는 돈이 없을 때와 돈이 너무 많이 생겼을 때라고 합니다.그래서 적당히 중상위권들의 삶이 가장 안정적으로 간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요.정답은 없겠지만 그래도 내 가족과 보다 풍족하게 살기 위해서 어느 정도 자산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3월 23일 작성 됨
Q.
요즘 주식시장은 한국시장이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이 무너지면 한동안은 세계적으로도 충격은 받을 것 이여서 한국주식이 괜찮다라고 말씀드리긴 어려우나 그래도 너무 많이 내려온 상태에서 미국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돈의 흐름이 미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로 이동하는 시기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당분간은 오름 추세로 전환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산관리
2025년 3월 23일 작성 됨
Q.
지금 태어난 아이들은 국민연금을 정말 소득의 30몇퍼 떼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계산상 그렇게 됩니다. 그렇기에 이제는 바꾸어야한다 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죠.기성세대들이 자기네들 다 쓰고 이제 자라고 있는 10~30대에게 전가하는 모습이 공공연히 보여지고 있습니다.그런데 적당히 전가되면 모를 수도 있고 그러려니 할텐데 말도 안되는 수치를 소득에서 떼면 젊은 사람들은 소득이 높아져도 실질소득은 여전히 그대로라 점점 더 가난해지고 부익부빈익빈 사태가 더욱더 가속화되어 커지게 될 것 입니다.이러면 사회적 문제가 커지고 인생을 포기하거나 반사회적 사상이 커지면서 각종 시위나 범죄나 마약 등의 빈도가 높아지게 됩니다.앞으로 10년만 지나도 이제 태어나는 아이들의 수가 지금보다도 훨씬 줄어드는 세상이 올텐데 사람은 없으나 세수를 맞추려고 세금을 올리면 되지라는 생각이 이제는 바뀌어야합니다.
경제동향
2025년 3월 23일 작성 됨
Q.
미달러 약세화와 경제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말하면 현재 미국의 자국우선주의로 인하여 금리인상과 더불어 세계의 돈들을 미국으로 빨아들였습니다.그런데 경제가 악화되고 미국의 사정이 안 좋아진다면 그 돈들은 다른 나라 혹은 금 같은 안전자산으로 향해 가겠죠.돈의 순환으로 인하여 쭉 빠지는 것입니다. 미달러가 약세가 되면 다른 나라의 투자로 이어지게되어 흐름이 다시 유동적으로 바뀌게 된다는 것인데 현재 한국의 경우 이미 저점이 올만큼 왔고 고통도 받고 있어 사실 여기서 더 이상 내려가긴 힘듭니다. 이런 와중에 달러 약세로 경상수지가 상대적으로 올라가게 된다면 물가가 낮아지고 소비가 상승하면서 경제 순환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렇다고 달러가 너무 약세이면 오히려 안 좋기 때문에 무엇보다 약세도 적당히 내려올 때 이야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21
122
123
124
1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