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하이파이코인 거래소말고 개인지갑 이름 아이는분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하이파이 코인 홈페이지(https://swap.hifi.finance/#/swap)에서 지갑을 만들거나 메타마스크 등으로 이체가 가능합니다. 홈페이지 하단 왼쪽의 Swap 매뉴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https://swap.hifi.finance/#/swap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업비트 빗썸에서 하이파이 상폐한다는데 코인원은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원의 경우 상장폐지 공지는 없고 하이파이 코인에 대한 거래유의 종목 지정을 연장한다는 공지가 금일 발표 했습니다.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대출 상환순서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카드 리볼빙 대출을 가장 먼저 상환하시기 바랍니다. 금리도 그렇고 신용점수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비상금 대출은 대부분 1금융 대출이고 금액이 크지 않아서 신용점수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고 상대적으로 금리도 낮은 편입니다. 카드사 대출은 쉽고 빨리 실행이 가능하나 그만큼 신용점수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며 당연히 금리가 매우 높습니다.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요즘에 코인은 가격 변동성이 엄청나네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이론상 코인의 내재가치가 없습니다. 블록체인이라는 기술 기반으로 일종의 사회적 합의에 의해 가치를 부여하고 교환하고 저장하는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물론, 우리가 아는 돈 즉, 통화도 마찬가지 사회적 합의이고 발행 주체인 중앙은행이 가치를 보장하나 물가 상승에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주식이나 채권의 경우 발생 시장과 유통 시장 등을 관련 금융 당국이 엄격하게 규제하고 통제 하는데 코인 시장은 주식이나 채권 시장에 비교하면 거의 자율 시장이며 규제의 무풍지대와 같습니다. 주식과 채권 등과 달리 발행 주체의 기업가치, 실적 및 보증에 의해 가치의 편차를 어느 정도 보정하는데 코인의 경우 시장 환경에 거의 그대로 노출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른바 위험 자산 중에 끝판왕이라 보시면 됩니다. 호재와 악재를 가격에 그대로 흡수하니 요즘 같은 변동성이 심한 글로벌 경제 환경 하에서 변동성에 그대로 노출되는 셈입니다.
2025년 4월 11일 작성 됨
Q.
현재 중국이 미국 국채를 많이 매도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은 일본 다음으로 미국 국채를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1년 중국은 1조 700억달러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최근에는 약30% 줄어든 7,600억달러 수준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많이 줄었지만 엄청난 양의 미국채를 보유하고 있어서 최근 미국의 대규모 관세 부과 이후 투매에 중국 정부도 있다는 루머가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최근 미국 국채 투매와 국채 가격 급락은(=국채 금리 상승) 트럼프의 과한 관세 부과, 중국과의 무역전쟁 및 자국 경제의 불확실성에 기인한다고 봐야할 듯합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