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3월 26일 작성 됨
Q.
공매도가 재개되면 타격받게 되는 섹터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공매도 세력인 특정 섹터를 공격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과거 셀트리온을 집중 공격했다고 바이오제약이나 바이오씨밀러 섹터를 공매도 세력의 집중 공략 대상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공매도 세력의 크기와 성향에 따라 대상 회사의 시가총액과 유통량 및 개인 투자자 비율 등이 더 중요한 공격 대상의 요인이라 판단됩니다. 일반적으로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 비율이 높은 주식 보다는 개인 투자자 비율이 높은 주식이 중간 정도의 시가총액(가령, 10조원 이내)을 가진 주식을 선호하지 않을까 싶고 자금력이 크지 않은 공매도 세력의 경우 코스닥 주식의 비슷한 주주 분포를 보이는 보다 작은 크기의 주식을 공격 대상으로 삼을 가능성이 큽니다. 변동성이 크지 않은 대형주는 공매도 세력이 관심을 가지지 않을 듯합니다.
2025년 3월 26일 작성 됨
Q.
한계수입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풀어주세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한계 수입(Marginal Revenues)는 한계 비용(Marginal Cost)와 같이 보셔야 이해가 쉽습니다. 미시경제학에서 한계 수입과 한계 비용이 같을 때 수익이 최적화 된다고 합니다. 위에 말씀하신 가격에는 비용도 포함되어 있어서 수익(또는 이익) 측면에서 보려면 어느 정도 이익율을 가격별로 품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한계 비용까지 계산을 하면 최적 생산과 가격인지 파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단위당 가격의 제품이 판매량도 중요하지만 이익율, 원가율도 한계수익 측정 시 필요한 정보입니다.
2025년 3월 26일 작성 됨
Q.
테더 재단은 얼마나 많은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작년 10월 기준 약976억달러의 미국 국채를 테더재단이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독일과 멕시코 보유 미국채 보다 많은 셈이며 한국의 1,167억달러에 조금 못 미치는 엄청난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 셈입니다. 이로 인해 테더의 금융 시장 영향력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며 테더의 USDT에 대한 신뢰성도 높아진 상태입니다.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트럼프가 베네수엘라산 석유나 가스를 수입하는 국가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는데 해당 국가의 모든 산업에 25% 부과한다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반미 국가인 베네수엘라는 세계 1~2위의 석유 매장량을 가지고 있는 산유국입니다. 베네수엘라에서 석유나 가스 수입 시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인 바, 다른 품목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국가 단위의 포괄적 관세 부과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2025년 3월 25일 작성 됨
Q.
금통장이 있던데.... 지금이라도 매일 금을 코인사듯 사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금은 말씀대로 지금이라도 조금씩 장기간 사 모으면 훌륭한 투자 수단이자 저축 수단이 될 수도 있습니다. 최근 금값이 폭등했으나 글로벌 정세 불안은 거의 고착화 추세이고 물가나 경기 불안 등으로 금에 대한 수요는 점증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일시에 몰빵 하시지 마시고 2~3년 이상 매월 일정 금액을 불입 하듯이 모을 것을 추천드립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