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1월 24일 작성 됨
Q.
올해 미국의 기준금리는 얼마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4.5%입니다. 내년 금리는 3.25~3.5%로 예상하는 연준 의원들이 많습니다. 아래 제가 잉크에 올린 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a-ha.io/experts/columns/4a495847480a683bbb32ffbd3a76dd64
2025년 1월 24일 작성 됨
Q.
계좌을 많이개설하거나 체크카드가 많으면 신용도에지장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금융 계좌 개설 후 체크카드를 만든다고 신용점수나 등급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체크카드는 잔고 내에서 사용가능하기 때문입니다.
2025년 1월 24일 작성 됨
Q.
일본이 금리를 인상하면 우리 경제에는 어떤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가장 직관적인 이슈는 엔캐리 청산입니다. 일본의 낮은 금리 때문에 해외로 빠져 나간 엔화가 현지 금융 시장에서 청산되며 일본 내로 회귀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한 주식, 채권 시장의 혼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엔화 통화 가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2025년 1월 24일 작성 됨
Q.
돈의 가치는 계속 하락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경제가 성정하고 물가가 상승하면 말씀 하신 대로 돈의 가치는 조금씩 하락하는 게 맞습니다. 한국만 봐도 1인당 GDP가 3만원달러 중반 수준인데 과거 80~90년대에 비해서 재화와 서비스 가격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현금만 보유하는 건 당연히 물가상승률만큼 손해를 이론적으로 보는 것입니다. 투자금이 있으시다면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는 예적금이나 주식 등 성향에 맞게 투자활동을 하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2025년 1월 24일 작성 됨
Q.
은행들 대출금리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국내 은행들의 최대 수익처는 말씀하신 대로 대출 이자와 예적금 이자의 차이인 예대마진 수익이 가장 큽니다. 이 예대마진은 금융 당국의 모니커링과 관리 감독 하에 있습니다. 한국 뿐 아니라 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도 금융업에 종사하는 이들의 높은 연봉과 보너스는 자주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물론 너무 과하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금융업도 분명 사적인 영역이고 각 산업별로 부가가치의 차이는 분명 존재합니다.
266
267
268
269
2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