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국내 배당주 주식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배당주는 내수주에 분포해 있습니다. 유틸리티, 금융 및 통신주가 해당됩니다. KT&G, KT,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가스공사 등입니다. 분기 기준 시가 배당율이 대부분 1% 내외로 나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12월 결산 법인의 배당은 연말 배당락을 거쳐서 다음 해 1월 중에 지급하는 경우가 많으나 요즘 많은 기업들이 분기 배당을 실시하고 주요한 배당주들이 대부분 분기 배당을 합니다. 가령, 2분기 배당의 경우 6월 25~26일경 배당 마감일이고 실제 배당 지급일은 약 한달 여 후인 8월중 지급됩니다.
경제정책
경제정책 이미지
Q.  '은폐된 증거의 오류'란 무엇을 설명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은폐된 증거의 오류'는 간단히 말해 기존 진실을 부정할만한 명확한 증거가 없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는 기존 거짓을 참이라고 판단할만한 증거가 없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도 역으로 해당될 수 있습니다. 가령, 서구 제국주의 하에서 아프리카 노예 매매를 통해서 흑인들의 질곡의 역사가 있었다는 것은 오래된 진실에 해당하는데 이를 부정하고 노예제는 자발적이었다고 주장하는 이들이나 일본의 위안부 부정도 비슷한 '은폐된 증거의 오류'에 해당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미국에서의 금리 인상과 금리 인하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 수준 결정은 미국 경제와 글로벌 경제가 처한 상황에 따라 양상이 다릅니다. 최근 금리 인하 이슈는 지난 2020년 3월 이후 코로나19 판데믹 때 제로 금리 수준으로 금리를 인하 한 후 5.5%까지 급격히 인상을 한 것에 대한 적정 수준을 찾아가려는 움직임으로 보시면 됩니다. 장기간 고금리 하에서 미국민들 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가 위축 되었는데 최근 미국 고용지표발 경기 침체 우려도 있었고 미국이 우려하는 물가 상승을 동반한 스테그플레이션 가능성도 낮아져서(목표 물가 상승률인 2% 내외로 유지) 오는 9월 미연준의 FOMC 회의 때 금리 인하는 기정 사실화 되었습니다.
경제정책
경제정책 이미지
Q.  지금 독도에 대한 것이 왜 이슈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독도라는 작은 암석으로 된 섬이 이슈가 된 것은 배타적 경제수역 때문입니다. 여기서 배타적 경제수역은 자국 연안에서 200해리까지 모든 자원의 소유권이 해당국에 귀속된다는 것인데 독도는 이러한 점 때문에 한국과 일본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입니다. 지리적으로 독도를 중심으로 한국의 동해와 일본 열도 인접 근해까지 겹치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역사를 보더라도 상당 기간 울릉도의 부속섬인 독도는 한국이 실질적 지배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국제사회에 명확한 소유권에 대한 확증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일본이 잊을 때만 되면 소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독도는 명확하게 한국 땅입니다. 만약 과거 양국이나 주변국들과의 협정 등에 의해서 독도에 대한 소유 또는 점유권에 대한 합의나 문서가 일본 측에 유리한게 있었다면 일본은 가만 있지 않았을 겁니다. 그렇게 소중한 땅이었으면 815광복 이후에도 독도에 일본인 또는 일본 땅임을 주장할 수 있는 명인 표시가 있었겠지요.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장기채권 가격, 이자 관련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채권 시장은 채권금리 즉, 채권의 표시금리가 아닌 시장금리에 의해 가격이 결정됩니다. 주식처럼 사자와 팔자가 만나야 거래가 이뤄지는데 채권금리가 하향 안정세가 지속되면 거래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의미로 판단됩니다. 거래가 더디니 보유한 채권 매각이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장단기 채권의 가격은 앞서 설명 드린 대로 금리에 의해 결정되는데 장기채의 경우 일반적으로 단기채 보다 금리가 높습니다. 만기가 길다는 것은 그 긴 만기 기간 동안 여러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장기채의 가격 변동성은 채권 가격 이론 상 당연한 말입니다. 현재와 같이 금리 하락 가능성이 커지고 이미 다음 9월달 미연준의 금리 인하는 그 크기가 문제가 될 정도로 인하 가능성이 100%입니다. 이렇게 기준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시장 금리도 하락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단기채 보다 금리가 높게 책정되는 장기채 수요가 증가할 수 있어 장기채 가격이 상승(=실질 금리 하락)할 수 있다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다소 긴 설명을 드렸습니다만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대이고 단기채 보다는 만기가 긴 장기채 금리가 더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가정 하에 상기 기사를 보시면 도움이 되실 듯합니다.
5065075085095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