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박현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전문가입니다.
박현민 전문가
SEOULTECH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무역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수출입 물품의 혼재보관으로 손해가 발생했을 경우 배상 책임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혼재보관 중에 물건 손상되면 진짜 난처합니다. 누가 책임져야 하냐고 따질 때 계약서에 명확하게 안 적혀 있으면 서로 떠넘기기 바빠지거든요. 그래서 무역계약서나 보관계약서에 물품 혼재에 따른 손해 발생 시 보관업체 책임 범위, 배상 기준, 보험 적용 여부 같은 조항을 아예 구체적으로 넣어두는 게 좋습니다. 특히 보세구역이거나 공동창고일 경우에는 혼재 보관에 대한 동의 여부랑 손해 발생 시 입증 책임이 누구한테 있는지도 미리 명시해두면 나중에 실랑이 줄어듭니다.
무역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간접수출과 직접수출 간 세제상 혜택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둘 다 영세율 적용된다는 점은 같지만 실제로 따지고 들어가면 세제 혜택 체감에는 좀 차이 납니다. 직접수출은 수출신고서 기준으로 증빙이 확실해서 부가세 환급 절차가 좀 더 빠르고 깔끔하게 되는데, 간접수출은 구매확인서라든가 수출실적 확인 같은 별도 서류 요구돼서 행정적으로 좀 더 번거롭습니다. 그리고 간접수출은 내수처럼 보이다 보니 간혹 세무서에서 이의 제기하는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실무에서는 가능하면 직접수출로 잡으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역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중소기업 수출진흥을 위한 단계별 맞춤형 정부 지원 사업엔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수출 초보기업이면 먼저 수출바우처 사업이나 KOTRA의 수출첫걸음 지원처럼 시장조사부터 바이어 연결까지 도와주는 걸 활용하면 좋고요, 일정 실적이 생기면 수출유망중소기업 지정이나 글로벌강소기업 육성사업 쪽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이거 그냥 무작정 신청하는 게 아니라 자사 수준이 어느 단계인지, 매출수출비중조직 역량 이런 거 따져보고 거기에 맞는 프로그램 골라야 효과가 있습니다. 중기부나 KOTRA 지역지원단에 미리 상담 한번 받아보는 것도 실무자 입장에선 시간 아끼는 방법입니다.
무역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외화결제가 지연되는 경우 무역계약상 어떤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외화결제가 늦어지면 수출자는 진짜 난감해집니다. 계약서상에 페널티나 지연이자 같은 거 안 넣어두면 나중에 손해봐도 강하게 대응하기 어렵고요. 환율이 결제 지연되는 사이에 변동되면 차액 손실도 생기고, 그 사이 운영자금 막히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래서 실무에서는 LC 조건에 결제일 명확히 적고, T/T 조건이면 송금기한 넘기면 연체이자 부과 조항을 꼭 넣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필요하면 신용장 조건 안에 서류제출 기한이나 자동결제 조건 넣어서 리스크 좀 줄여야 합니다.
무역
약 1개월 전 작성 됨
Q.
중소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공동 물류비 지원사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중소기업청이나 한국무역협회 쪽에서 실제로 공동물류비 관련해서 지원하는 사업들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외 공동물류센터 운영이라든가, 중소기업 여러 곳이 같이 쓰는 창고나 운송 라인 구축해주는 식으로 물류비를 줄여주는 프로그램들이 있고요. 특히 수출 초보 기업이나 물량 적은 업체들한텐 이런 공동 물류 구조가 꽤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 지방중소벤처기업청이나 KOTRA 지사화 사업 쪽으로도 비슷한 형태의 지원이 있으니까 한번 직접 상담 받아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71
72
73
74
7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