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학적으로 물이 가장 맛있는 온도라던지 몸에 좋은 온도라는게 신빙성 있나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1. 용존산소가 최소한 5ppm 이상이 되어야 하고 끓인 물은 용존산소가 거의 없고 미지근한 물은 오히려 역겨움이 일어날 수 있고 맛있는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꼭 차게 마시는 것이 좋고 용존산소가 충분한 물은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활성산소를 활성수소로 결합 중화시켜 몸을 이롭게 합니다.2. 연중 수량에나 수질의 변화가 없는 물이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고 가뭄이 심해도 지속적으로 솟는 샘물은 그야말로 보약보다 낫습니다. 외부에서 스며들거나 오염된 물이 침투하게 될 경우엔 지하수건 지표수건 반드시 정화시켜 마셔야 안전한데, 진단이 나오기 전까지는 절대 마시면 안됩니다.3. 물의 구조가 6각형, 고리구조 일 때 제일 맛이 좋고 생체 활성화를 위해 6각 고리구조가 5각 고리나 사슬고리보다 많아야 체내의 세포나 조직을 더욱 활성화시켜 질병으로 인한 몸을 다시 회복시켜 줍니다.4. 미생물이나 조류가 없어야 안전하게 마실수 있는 음용수가 되며 보통 수인성 전염병을 일으키는 콜레라,세균성, 이질,장티푸스 균등은 대개 환자의 배설물을 통해 지하수나 하천이 오염될 때가 많습니다.5. 소량의 미네랄과 탄산가스가 녹아 있는 "닥터큐 파동수(수)"가 좋습니다. 탄산가스의 경우 3~30ppm정도 미네랄의 경우 리터당 100ppm 정도 함유하면 물 맛이 아주 산뜻하고 인체에 활력소를 제공 합니다.6. 물은 약 알칼리성이 맛이 좋은데 산성 물에 비해 분자들이 매우 균일하고 미세 합니다. 따라서 우리의 미각 세포에 있는 수용체에 물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물맛이 아주 좋습니다.7. 맛있고 건강한 물을 마시고자 한다면 물이 나오는 그 자리에서 마셔야만 화학적 변화를 예방 할수 있고 세균번식의 위험을 배제 할수 있습니다.
Q. 과학적인 관점에서 '인터벌 운동'이 왜 효과적인 것이죠?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인터벌 런닝은 비만인 경우에도 가능하지만, 당신의 경우 몸무게가 한창 높은 편이므로 조금 더 부드러운 운동을 추천드립니다. 첫 단계로는 걷기나 실내 자전거 타기 등 부드러운 유산소 운동을 시도해보시고, 체력이 향상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강도를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근력운동을 함께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근력운동은 근육량을 증가시켜 체내 대사를 높이고, 다이어트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근력운동 진행 시 프로테인 보충 제품이나 전문적인 트레이너 컨설팅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Q. 인공위성을 보유한 국가는 어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인공위성지난 1995년 우리나라 최초의 통신 위성인 무궁화 1호는 발사도중 보조 로켓이 분리되지 않아 이 보조 로켓이 함께 올라가는 바람에 예정 고도 보다 무려 6351km나 낮은 궤도에 진입하였다고 한다. 정상 궤도에 진입하기 위해 자체 연료를 연소시켜 다시 올라갔는데 이로 인해 수명이 10년에서 4년 4개월로 크게 줄어들었다고 한다. 해마다 약 100여 개의 인공위성이 쏘아 올려지고 있지만 100% 성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조금의 실수도 용납될 수 없는 첨단과학의 결정체가 바로 우주 과학이라 할 수 있다.우 리 별 1 호1992년 8월 11일 성공적으로 발사된 우리별 1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우리 국적 위성으로서 인공위성 연구센터가 89년부터 영국의 써리대학과 위성개발 및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3년 동안의 개발하여 발사된 위성이다.발사일 : 1992년 8월 11일 발사체 : 아리안 4 궤 도 : 1300 km 원형 궤도 질 량 : 48.6 kg 탑재체 : 축적 및 전송 통신 실험 장치, 지구 표면 촬영 실험 장치, 우리말 음성 방송 실험 장치, 우주 방사선 측정 실험 장치우 리 별 2 호우리별 1호를 개발한 연구팀은 우리별 1호의 성공적인 발사 및 운용과 함께 두 번째 위성인 우리별 2호를 국내의 연구팀과 함께 설계, 제작, 시험까지 수행하였다.발사일 : 1993년 9월 26일 발사체 : 아리안 4 궤 도 : 800 km 질 량 : 47.5 kg 탑재체 : 지구표면 촬영 실험 장치, 소형 위성용 차세대 컴퓨터, 고속 변폭조 실험장치축적 및 전송 통신 실험 장치, 저에너지 입자 검출기, 적위선 감지기 실험 장치우 리 별 3 호우리별 3호는 기존의 우리별 1,2호의 개발을 바탕으로 순수 독자 설계로 개발된 우리나라 최초의 고유의 인공 위성이다. 성능면에서 동급의 다른 위성에 비해 손색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발사일 : 1999년 5월 26일 발사체 : PSLV 궤 도 : 730 km 원형궤도 질 량 : 약 110 kg탑재체 : 원격탐사 탑재체(15m급 해상도, 3패녈, 선형 CCD 카메라) 우주과학 탑재체 : 방사능 영향 측정기, 고에너지 입자 검출기, 정밀 지구 자기장 측정기, 전자 온도 측정기무궁화위성 1 호무궁화위성은 1995년 8월 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기지에서 델타 Ⅱ 로켓에 실려 발사된 우리나라 최초의 방송통신위성 무궁화호는 적도상공 3만6천㎞의 정지궤도에서 직접위성방송과 통신전파를 쏘아보냄으로써 우리나라의 우주시대를 여는 첨병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발사시의 실수로 인해 무궁화 1호위성은 수명이 10년에서 4.5년으로 단축되었으며 위성보험에 의해 처리되었습니다. 이에 무궁화 2호의 발사는 앞당겨졌습니다 무궁화위성 2 호무궁화 1호의 예비 위성으로 계획되었던 무궁화 2호 위성은 1996년 1월 14일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1996년 7월부터 무궁화 1호와 함께 운용되고 있습니다. 무궁화 2호는 위성은 35,766 km의 궤도에서 지구와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정지 궤도 위성입니다.다목적 위성 아리랑 1호다목적 위성은 1999년 9월경에 발사될 예정인데 고도 400 - 800 km에서 해양 자원 탐사, 과학 탐사, 3차원 지도 제작, 통신 사업 등의 임무로 개발된다. 전체 위성 무게 350 - 500 kg 정도로 핵심 부품의 40 - 80 % 정도를 국산화하려고 하고 있다.- '97년까지 공식적으로 발표된 인공위성 발사대수는 약 4,800여기 이상 (군사용 위성의 발사는 비공개 사항임)- 주요 발사체 발사실적('92년 집계)국 가 발사체 성공회수/발사회수 성공율미 국 Space shuttleTitan IIIDelta45 / 46144 / 155196 / 2080.9780.9290.943러시아(구소련) Scout Proton 100 / 114164 / 1870.8770.877프랑스 Ariane 45 / 50 0.900중 국 Long March 22 / 26 0.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