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람의 뇌는 어떻게 사고를 하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은 살면서 뇌의 98%를 씁니다. 신문에서도 나왔더군요.오픈사전에 있는 것 덧붙였습니다.아이슈타인이 자기 자신의 뇌의 2~3%밖에 쓰지 못했다 라고 많은 사람들은 이야기 합니다. '과학 콘서트'라는 책에서 사람은 자신의 뇌를 거의 100% 사용한다고 합니다. 사람의 뇌는 상호간의 정보교환과 자극전달등의 상호작용을 아주 활발하게 하기 때문에 뇌의 2~3% 밖에 쓰지 못하고는아무런 일도 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사람이 자신의 뇌의 10% 밖에 사용하지 못한다면 사용하지도 못하는 그러한 뇌가 왜 퇴화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을까요?만일 1, 2%만 쓴다면 나머지는 퇴화될텐데, 왜 있을까요? 뇌가 무거워서있기도 힘들텐데.. 안 쓰면 쓰는 뇌 1, 2%만 남을텐데.. 수천년동안진화해 온 인류입니다.하지만 사람이 자신의 뇌의 잠재능력의 10%도 사용하지 못한다고 하면 말이됩니다. 인간의 뇌는 상당히 신비하여 얼마든지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기억력도 얼마든지 몇배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을 해야하죠. 실제로 기억력과 사고력 등의 잠재능력을이끌어내는 방법을 소개한 책들이 시중에는 많이 있습니다.결론은 인간이 뇌의 10%도 사용하지 못한다는 말은 뇌의 기능중에서 10%도 사용하지 못한다는 말이 아니라 잠재능력, 개발할 수 있는 그런 능력중에서10%도 사용하지 못한다는 말로 보는 것이 옳습니다.[결론: 사람이 자신의 뇌의 잠재능력의 10%도 사용하지 못한다고 하면 말이 되고 사람이 일생동안 뇌의 1,2%도 못쓴다는 건 말도 안 된다!]
Q. 화산폭발이 기후변화의 원인이 될수도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화산폭발은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화산은 대기 중에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와 황산가스, 물과 함께 다량의 미세입자와 같은 화학물질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은 대기 중에 머무르면서 태양광 선량을 반사시키거나, 지구로 들어온 태양광 에너지를 대기 중에서 흡수하기 때문에 지구의 온도와 기후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또한, 인간의 활동도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칩니다. 대표적으로는 화석 연료의 사용, 산림벌채, 대규모 목축과 같은 이산화탄소, 메탄 및 이탄산가스와 같은 온실가스를 방출하는 활동이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농경지의 변화와 대기 오염도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