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 설비에서 누전차단기의 기본 동작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누전차단기는 전기 설비에서 누전이 발생했을 때, 전류의 불균형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기본 동작 원리는 전선의 흐름을 인식하는 변류기를 통해 선과 중성선 사이의 전류 차이를 감지하는 것으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전자기 코일이 작동해 회로를 차단하게 됩니다. 안전한 설치를 위해 누전차단기는 누전 가능성이 높은 습기 많은 장소, 욕실, 주방 그리고 야외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며, 주기적인 작동 테스트와 점검을 통해 기능을 유지해야 합니다. 설치 기준은 국내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한국전기설비규정을 참고하여야 하며, 설치는 자격을 갖춘 전문가가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Q. 접지 방식의 특징과 종류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접지 방식은 전기 설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먼저, TN 접지 방식은 전원 공급원의 중성선을 보호 접지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TN-C, TN-S, TN-C-S로 세분됩니다. TN-C는 중성선과 보호 접지선을 하나로 사용하며 설비 설치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압 상승 위험이 있습니다. TN-S는 중성선과 보호 접지선을 분리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TN-C-S는 두 방식을 결합하여 경제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시킵니다. TT 접지 방식은 전원 공급원에서 접지를 분리하여 독립적인 접지 전극을 사용해 감전 위험을 줄입니다. IT 접지 방식은 전원 공급원의 중성선을 접지하지 않거나 높은 임피던스로 결합하여 고장 시 안전성이 큽니다. 이러한 접지 방식은 각각의 장단점과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