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사 내용중에 궁금한게 생겼는데요. 스마트워치의 ECG 기능의 원리와 정확성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스마트워치의 ECG 기능은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고,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합니다. 스마트워치의 전극은 보통 시계 뒷면과 버튼에 위치하며, 이 전극을 통해 심전도 파형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정확성에 있어서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전문 의료기기와 비교할 때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충분히 신뢰할 만한 수준입니다. 특히 심박수나 부정맥과 같은 이상 징후를 감지하기에 유용합니다. 이 기술은 개인이 일상에서 쉽게 심장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주어 헬스케어 분야에 큰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의료 자문을 받기 위한 초기 단계 정보 제공 등에 유리합니다.
Q. 마그네틱 레조넌스 기반 무선 충전의 원리와 기존 전자기 유도 방식과의 차이점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마그네틱 레조넌스 기반 무선 충전은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이는 두 안테나가 같은 주파수에서 공진할 때 에너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입니다. 반면, 기존 전자기 유도 방식은 주로 가까운 거리에서 두 코일 간의 자기장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이 방식은 주로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이 매우 근접해 있을 때 더욱 효율적입니다. 마그네틱 레조넌스 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보다 더 긴 거리에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보다 다양한 각도로 수신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상용화 가능성에 있어서는 이미 일부 상용화된 사례가 있고, 특히 전기차 충전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다만, 효율성 문제와 안전성, 비용 측면에서 더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Q. 전자 기기에서의 블루 라이트 필터 기술의 영향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블루 라이트는 가시광선 스펙트럼에서 높은 에너지를 가지며, 눈에 직접적으로 들어올 경우 피로감, 수면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블루 라이트 필터 기술은 화면에서 방출되는 이 블루 라이트의 양을 줄여서 사용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필터 기술의 원리는 색온도를 조절해 블루 라이트의 비율을 낮추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의 RGB 중에서 B(블루) 영역의 출력을 줄입니다. 이를 통해 눈의 부담을 덜어주고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필터는 대부분의 스마트폰, 태블릿, 모니터에서 설정을 통해 쉽게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