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는 어떻게 생성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전기는 발전소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화력, 원자력, 수력, 풍력, 태양광 등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입니다. 화력 발전은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을 연소시켜 증기를 만들고, 그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합니다. 원자력 발전은 우라늄 같은 원자력 물질의 핵분열을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로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든 후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듭니다. 수력 발전은 댐에 저장된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성합니다. 풍력 발전은 바람의 힘으로 터빈을 돌리고, 태양광 발전은 태양의 빛을 전기로 변환합니다. 한국전력공사는 이렇게 생산된 전기를 소비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송전, 배전, 전력 판매 등을 담당하는 공기업입니다.
Q. 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를 설명하는 오옴의 법칙은 어떻게 활용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오옴의 법칙은 전압(V), 전류(I), 저항(R)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기본 법칙으로, 이는 V = I * R의 형태로 표현됩니다. 이 법칙을 활용하면 두 가지 값을 알 때 나머지 하나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압과 저항을 알면 전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회로 설계 시 적절한 전압과 저항을 선택해 원하는 전류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어 안전한 전기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회로의 작동 상태를 예측하고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데도 유용하게 쓰입니다.
Q. 제가 지금 직류와 교류를 공부중인데요 질문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직류(DC)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고, 교류(AC)는 전류가 주기적으로 방향을 바꾸며 흐릅니다. 직류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배터리나 전자기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단점은 장거리 전송 시 전압 강하가 크고 변압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교류 전력은 송전 시 전압을 쉽게 변환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지만, 전자기기에서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직류는 전자기기, 배터리, 전기차 등의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Q. 전선의 재질에 따라 전기 전도율이 어떻게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전선의 재질에 따라 전기 전도율은 크게 달라집니다. 구리는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갖고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알루미늄은 구리보다 전도율이 낮지만 비용이 저렴하고 가벼워 특정 조건에서 유리합니다. 금과 은은 전도율이 우수하지만 가격이 높아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됩니다. 전도율에 따라 전선의 효율과 손실이 달라지기 때문에 극저온이나 고온 환경, 무게 절감이 중요한 경우에는 적합한 재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선택 시 전도율 외에도 기계적 강도, 내구성,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