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Q.  요즘 금리가 장난아닌데 인플레이션 잡기위해 이런 금리가 도움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상승을 막기 위해 금리인상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맞습니다.금리가 상승하면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추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잡히게 되는 것입니다.다음은 한국은행의 금리변동에 대한 기대경로입니다.기준금리 변경은 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를 통해서도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기대인플레이션을 하락시킨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실제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게 된다.
Q.  이자 금리가 오를 때 적금시 이자도 같이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준금리는 쉽게 말해 은행이 한국은행에 돈을 빌리는 금리라고 보시면 됩니다.이를 반영하여 예금/대출 금리 등을 운영하는 것이고 당연히 기준금리가 오르게 되면, 예금이자도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됩니다.일반적으로 동일한 이자율과 동일한 금액이라고 한다면 적금보다는 예금이 더 유리하다고 알려져있습니다. https://eiec.kdi.re.kr/publish/columnView.do?cidx=12293&sel_year=2019&sel_month=11
Q.  지금 적금을 드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는 현금보유를 하기에 괜찮은 상황이 맞습니다.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더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예금이나 적금으로서 현금보유를 하는 것이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 다만 적금을 언제 들어가느냐에 대한 부분은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인데, 어차피 제일 금리가 높은 상품을 고르거나 제일 낮은가격의 주식을 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시점에서 금리가 괜찮은 적금상품에 가입을 하는 것은 꽤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Q.  대한민국 주식장을 예측해보면 앞으로 괜찮아질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상황은 물가의 안정이 되지 않아 지속적인 기준금리 상승에 따라 자산(주식, 코인 등)가격이 하락세를 맞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인플레이션은 영원하지 않고 그에 따라 결국 다시 주식에도 호황기가 찾아올 수 있으나 현재로서는 추가적인 하락이 조금 더 이어질 것이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여유가 되시는 자금이 있다면 어느정도 저점구간에서의 분할매수가 좋을 수 있지만 무리한 투자는 아직 진행하면 안될 것으로 보입니다.
Q.  한국이 중국 경제 지표에 많이 영향을 받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가장 우방국이라고 한다면 미국을 많이 들 것이지만, 사실 우리나라와 가장 수출입 금액이 많은 국가는 중국입니다.우리나라는 전 산업에서 중국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으며 중국의 도시 폐쇄등의 상황에 따라 수입 그리고 수출이 지대한 타격을 입게되는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7717727737747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