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2년 11월 3일 작성 됨
Q.
앞으로 한국의 금리 인상을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의견들이 분분하지만 그래도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50bp인상인 것으로 보입니다.우리나라는 금리인상말고도 여러가지 우려(경기침체, 부채비율 등)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미국과 같은 정책(75bp)을 쓰지는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2년 11월 3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도 미국 따라서 금리 0.75% 올리려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금리인상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https://cm.asiae.co.kr/article/2022110310400176845미국에서 이번에 75bp의 금리인상 정책을 펼쳤다곤 하지만 우리나라가 그것을 무조건 따르지는 않을 것이고, 우리나라의 정책이 국내상황에 맞게 잘 대응하길 바랄 뿐입니다.
2022년 11월 3일 작성 됨
Q.
"매파적" 이라는게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금리인상과 관련하여 '매파적'인 목소리가 나왔다고 표현이 되곤 하는데, 강경책을 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매파라는 말은 미국의 3대 대통령 토마스 제퍼슨이 처음으로 사용한 단어라고 알려져 있는데, 베트남 전쟁 당시 전쟁을 지속이나 확대를 선호한 정치 세력을 매의 공격 성향에 빗대 ‘매파’라고 불렀고 전쟁보다는 외교 측면에서 평화로운 해결을 주장한 세력을 ‘비둘기파’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하였습니다.이후 정치와 외교 관점에서는 보수적이고 강경한 세력을 매파, 성향이 부드럽고 온건한 세력을 비둘기파라고 부르는 것이 경제학이나 통화정책 차원에서는 의미가 약간 변경돼 금리인상 지지파를 매파, 금리인하 지지세력을 비둘기파라고 부르게 되는 것입니다.
2022년 11월 3일 작성 됨
Q.
주식은 어느정도의 여윳돈으로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여윳돈이라는 것은 굉장히 상대적인 개념이라 딱 어느정도라고 말할수는 없지만 현재의 상태로는 빚을 내서 투자를 하는것은 지양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또한 현재 빚이 아닌 현금을 100원만큼 가지고 있다면 그 중 10~20%정도로만 안전하게 진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2022년 11월 3일 작성 됨
Q.
앞으로 금리인상이 계속 진행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상승이 제대로 잡히지 않는 상황이라 금리인상이 계속될 수 밖에는 없습니다.금리인상은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춰 결국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기 때문입니다.기준금리 변경은 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를 통해서도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기대인플레이션을 하락시킨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실제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게 된다.다만 아직 그 정책적 효과가 제대로 나오지 않고 있어 추가적인 금리인상은 불가피해보입니다.
786
787
788
789
7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