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3년 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사태가 수습되면 국내 시장금리가 다시 2%대로 돌아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기준금리가 많이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인플레이션의 억제수단으로서 활용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최근 엄청난 저금리로 인한 호황(?)이 이루어지다가 지금 금리인상이 이어지고 있는데, 경제는 지속적으로 순환하게 되며, 언젠가는 다시 기준금리가 낮아지는 순리가 찾아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Q. 주식에서 대체 공매도라는것은 왜 만들어진거죠?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공매도(空賣渡)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혹은 하락시킬 타겟을 정해) 주식을 미리 빌려서 비싼 값에 팔고 나중에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빌린 주식을 싼값에 사들여 넘겨 결제를 완료함으로써 중간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을 말합니다.공매도로 인하여 주식시장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유동성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효율성적인 면에서는 공매도가 없는 시장에서는 필연적으로 주식 가격이 본래 가치보다 고평가 받는 버블이 형성된다는 내용입니다.쉽게 말해 하락에 배팅할 수 없게된다면, 하락을 예상하는 투자자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버블이 형성되다가 터지면 엄청난 피해가 예상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유동성 증가 부분에서는 공매도가 없다면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되는 주식들에 대한 매수자만 있을 뿐 매도자가 없어 거래가 형성될 수 없고 유동성이 낮아지는데 공매도가 존재한다면 매도의견이 반영되어 거래 성사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다만, 결국 공매도 제도 자체가 주가 하락에 배팅을 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투자심리의 위축 등의 부정적 영향도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