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영어에 'When pigs fly' 라는 표현을 종종 쓰던데 언어적으로 숨은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When pigs fly" 라는 표현이 종종 있습니다. 돼지가 날 수 있다는 것은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 있을 법하지 않은 것, 속기 쉬운 사람만이 믿을 수 있는 것을 묘사하는 관용구입니다. 'When pigs fly' 주로 미국식 문구이고, 'pigs might fly '는 문구는 주로 영국식 문구입니다. 이 표현은 종종 의심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터무니없거나 순진하고 어리석은 진술에 대한 응답을 할때 주로 사용됩니다. 용어는 1616년에 출판된 라틴어-영어 사전인 A Shorte Dictionarie for Yonge Begynners에서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누군가의 생각이나 의견이 있을때 'When pigs fly' 에 비유하는 것은 조롱이나 조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서로를 부드럽게 놀리는 친구들 사이에서만 사용해야 하고 공식적인 서신에 사용하면 안되는 표현입니다. 예를들어 매번 실패만 하던 사람이 마침내 성공을 하게됐을때,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When pigs fly'라는 말을 하며 비꼬는 말을 하는 방식으로 쓰여질수 있겠네요.
Q. 한국어에는 지방마다 사투리가 있는데 일본어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네 사투리는 거의 대부분의 나라마다 다 지방색이 있는 사투리가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지방마다 다른 사투리가 있는데요. 일본말로 사투리는 '호겐' 혹은 '나마리'라는 말로 불리웁니다. 일본에서는 도쿄 주변의 간토 지방의 말이 표준어로 통용되며 간사이 지방(오사카, 교토 등 긴키지방)의 언어가 일본의 대표적인 사투리로 알려져있습니다. 또한 주고쿠 지방의 ‘주고쿠 사투리 (中国方言)’와 긴키 지방의 ‘긴키 사투리 (近畿方言)’ 등으로 크게 나뉘며, 긴키 사투리 중 오사카부, 교토부, 효고현 (고베) 등에서 사용되는 ‘간사이벤 (関西弁)’이 특히 유명합니다 일본 사투리 중에서 매력있다고 하는 지역들은 후쿠오카, 오사카, 교토, 아오모리 라고 하네요
Q. 울산의 공업축제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울산공업축제는 1967년부터 열렸으며, 현재는 '처용문화제’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울산의 대표적인 공업지구인 '처용'을 상징하며, 기존의 공업 역사와 함께 문화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 축제는 울산 지역의 공업 발전을 기리고 지역 사회와 국내외 방문객에게 공업 분야의 역사와 현황을 알리는 자리로서 열리고 있습니다.울산은 1962년 정부 역할을 했던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의해 특정공업지구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지정은 1962년 6월 1일에 이루어졌으며, 이 날은 동시에 경상남도 울산군에서 경상남도 울산시로 승격된 날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기리기 위해, 옛 공업축제도 1967년 4월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그 이후로는 매년 6월 1일에 개최되게 되었습니다.울산공업축제는 지난 다수의 해를 통해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온 축제로서, 지역 주민과 국내외 방문객들에게 울산의 공업 역사와 현대화된 산업 발전 모습을 전시하고 안내하며, 관련 기업과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가 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울산 지역의 경제 발전과 산업 강국 성장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Q. 인구밀도가 낮은 몽골의 영토 개발 가능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골은 넓은 평야에 유목이나 농업을 발달 시키고 살아가고 있는데요. 몽골은 넓은 평야와 특이한 지형 조건을 가지고 있어 농업 발전에 매우 적합한 지역입니다. 최근 몽골 정부는 이러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넓은 평야 개발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 계획에 따르면, 50m 이하의 평야 지역이 전체의 50% 이상으로 넓은 곡창 지대를 형성하게 됩니다. 또한, 개발 가능한 표고 기준인 100m 이하의 표고가 전체의 69.0%를 차지하며, 개발 불능 지역인 200m 이상의 표고는 전체의 13.3%로 개발에 매우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이러한 몽골의 개발 가능성에 주목한 한국 정부는 몽골과의 농업기술개발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몽골 농업 분야에서 기술 개발 및 컨설팅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한국은 선진 농업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몽골의 농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물의 품질과 수확량을 증대시키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Q. 원유수출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유수출이라 하면 미국이 대표적이니 미국 원유시장 변화에 대해 알아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초기 수출 ]미국은 1913년에 이미 석유를 수출하기 시작했으며, 1930년대에는 일본이 주요 구매국이 되었습니다. 1940년에는 프랭클린D. 루즈벨트 대통령이 일본으로의 석유 수송을 차단하기 위해 석유 금수 조치를 도입하였으며, 이는 진주만 폭격 사건으로 이어졌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수출업자, 전후 수입업자 ]1950년대의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은 정기적으로 연합국에게 석유를 수출하였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미국은 경제적 확장과 개방적인 도로망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석유보다 더 많은 공급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1950년대에는 미국이 석유의 주요 수입국이 되었습니다.[ 1970년대 가스 라인 도입 및 수출 금지 ]1973-74년의 아랍 석유 금수 조치로 인해 주유소에서 대기 줄이 길어지고 연료 가격이 급등하며 미국 운전자에게 공급 부족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OPEC 석유 카르텔 회원국은 미국의 이스라엘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미국의 모든 석유 수출을 사실상 금지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로 인해 1970년대에는 미국의 석유 수입이 거의 두 배로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석유 예외 조치 ]당시 석유 수출 금지 조치에 예외 사항을 두었습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빌 클린턴 대통령은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에 예외 조항을 적용하였는데, 예를 들어 국익에 부합한다고 판단한 경우 알래스카에서 캐나다로의 원유 제한된 판매를 허용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현대 공급 과잉 ]이후 미국의 시추업체들이 점점 더 많은 석유를 펌핑함에 따라 공급 과잉이 발생했고, 이들은 해외에서 새로운 시장을 찾고자 했습니다. 기업들이 금지령을 해제하기 위해 의회에 로비까지 하면서 일부 에너지 회사는 상무부로부터 초경량유 수출 허가를 받게 됩니다.이후 IPAA와 업계 파트너들은 오바마 행정부와 의회가 국가 정책 이익에 따라 원유를 수출할 수 있는 미국의 능력을 촉진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2015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 원유 수출 제한을 해제하는 조항을 포함하여 연방 정부에 자금을 지원하는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Q. 몽골음악중에 '흐미'라는 음악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후미(Khöömei, Хөөмий ‘흐미’또는 ‘후메이’라고도 한다) 전통은 몽골의 서부 알타이(Altai) 산맥 지역의 전통 창법(唱法)에서 유래한 예술이다. 후미는 중국에서는 ‘후마이(呼麦)’라고 부른다. 연행자는 자연의 소리를 모방한 2개의 다른 목소리를 낸다. 지속적인 저음과 함께 화음이 이루어지는 선율을 만드는 것이다. 후미는 ‘인두(咽頭)’를 의미하는 말로, 그 창법은 새들에게서 배운 것으로 여겨지는데, 새들의 정령은 샤머니즘적 행위에서 핵심적인 것이다. 몽골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후미 창법의 대부분은 하르히아라(kharkhiara, 깊이 울리는 후미 창법)와 이세게레(isegeree) 후미(휘파람 소리를 내는 후미)의 두 양식으로 나뉜다. 하르히아라의 경우 가수는 정상적인 성부로 저음을 노래하면서 한 옥타브 아래의 저음을 부각시킨다. 이세게레 후미는 저음의 기본음보다 높은 음조가 강조되며, 높은 음조의 휘파람 소리를 낸다. 두 경우 모두 저음은 성대를 매우 팽팽하게 당겨서 내고, 멜로디는 입술을 여닫고 혀를 움직여 입안의 크기와 모양을 조절하여 만든다. 후미는 엄숙한 국가 행사에서부터 가정의 잔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회생활에서 연행된다. 그리고 목축하는 동안이나 유르트(yurt) 안에서 갓난아이를 재울 때도 이 창법으로 노래를 부른다. 후미는 전통적으로 예능보유자가 전수생에게, 또는 스승이 제자에게 구전한다.출처: 유네스코와 유산
Q. 캘빈 쿨리지는 어떤 인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캘빈 쿨리지(Calvin Coolidge)는 미국의 30대 대통령으로 1923년부터 1929년까지 재임하였습니다. 그는 공화당 출신이었으며 보수적인 정책과 견해를 갖고 있었습니다. 쿨리지는 하딩 행정부의 스캔들로 인해 영향력을 잃은 정부를 이어받았고, 청렴성을 회복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그는 대중의 인기를 얻었으며, 그의 임기 동안 '광란의 20년대'의 많은 부분을 주도했습니다.캘빈 쿨리지 행정부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습니다:경제 관리: 쿨리지는 부채 관리에 주력하여 정부 부채를 17억 달러 이상에서 1929억 달러 미만으로 줄였습니다. 또한,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경제 정책을 시행하였고, 연방 예산을 줄이고 세금을 감소시키는 등 보수적인 경제 정책을 추진했습니다.국내 정책: 그의 행정부가 통과시킨 국내 법안 중 주목할만한 것으로는 인디언 시민권법(1924)으로 원주민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등 인권을 강화하는 법안을 추진했습니다. 또한, 이민법(1924)을 통해 유럽과 아시아 일부 지역으로부터의 이민을 제한하는 등 이민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세입법(1924년과 1926년)을 통해 상속세와 개인 소득세를 줄였으며, 전파법(Radio Act, 1927)을 통해 무선 통신을 규제하기 위한 연방 전파 위원회(Federal Radio Commission)를 설립했습니다.거부한 법안: 쿨리지는 재향 군인 보너스 법안과 McNary-Haugen 법안 등을 거부했습니다. 재향 군인 보너스 법안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용사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내용이었고, McNary-Haugen 법안은 농부들로부터 잉여 작물을 구매하는 정책을 제안한 것입니다. 이러한 거부는 쿨리지의 경제 정책과 자유방임 신념을 반영한 결정이었습니다.사회적 신념: 쿨리지는 경제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였으나, 사회적으로는 진보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테러리스트 백인 우월주의 단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여성의 참정권을 지지하고 원주민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등 사회적 평등을 추구하는 정책을 진행했습니다.
Q. 미국의 의회제도는 상원,하원으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과 한국의 의회제도는 차이가 있는데요. 다음은 미국의 의회제도 입니다.헌법 제1조에 의해 제정된 입법부는 하원과 상원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함께 미국 의회를 구성합니다. 헌법은 의회에 법률을 제정하고 전쟁을 선포할 수 있는 유일한 권한, 많은 대통령 임명을 확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권리, 상당한 조사 권한을 부여합니다. 하원은 선출된 43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전체 인구에 비례하여 50개 주로 나뉩니다. 하원의원은 2년마다 선출되며 25세 이상이어야 하며, 최소 7년 동안 미국 시민이어야 하며, 그들이 대표하는 주의 거주자여야 합니다. 하원은 세입 법안을 발의하고, 연방 공무원을 탄핵하고, 선거인단이 동점인 경우 대통령을 선출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여 독점적으로 할당된 여러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상원은 각 주당 2명씩 100명의 상원의원으로 구성됩니다. 1913년 제17차 헌법 수정안이 비준될 때까지 상원의원은 국민 투표가 아닌 주 의회에서 선출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그들은 각 주의 사람들에 의해 6년 임기로 선출되었습니다. 상원의원의 임기는 시차를 두고 상원의 약 3분의1이 2년마다 재선에 도전합니다. 상원의원은 30세 이상이어야 하며, 최소 9년 동안 미국 시민이어야 하며, 그들이 대표하는 주의 거주자여야 합니다. 미국 부통령은 상원 의장을 맡으며 상원에서 동점일 경우 결정적인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상원은 동의가 필요한 대통령의 임명을 확인하고 조약 비준에 대한 조언과 동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규칙에는 두 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하원은 또한 부통령 임명과 대외 무역과 관련된 모든 조약을 승인해야 합니다. 상원은 또한 하원이 회부한 연방 공무원에 대한 탄핵 사건을 심리합니다. 이렇게 미국은 상원과 하원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원은 각 주별로 2석, 하원은 각 주별로 인구에 비례해서 선거구가 나누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미국의 의회제도를 양원제라고 합니다.반면에 한국의 국회는 단원제입니다. 국회는 대한민국의 입법부에 해당하며, 국회의원은 300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국회의원들은 국민의 손으로 직접 투표를 하는 시스템입니다.
Q. 대한민국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윤희순, 박차정, 박자혜, 권기옥, 남자현, 김마리아는 대한민국 독립운동가로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들인데요. 이들은 1919년 3.1 운동을 비롯한 일제강점기에 활동하였으며, 특히 청년단장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습니다. 윤희순은 일제에 의해 체포되어 감옥에서 고문을 받았으며, 1947년에 서울에서 별세하였습니다. 박차정과 박자혜 역시 일제강점기에 일본 경찰에 체포되고 감옥 생활과 고문을 겪은 후, 각각 1946년과 1946년에 서울에서 별세하였습니다. 권기옥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하였으며, 1978년에 서울에서 별세하였습니다. 남자현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하였으며, 1986년에 서울에서 별세하였습니다.이들은 국가 독립을 위한 투쟁을 하면서 많은 어려움과 위험을 감수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희생과 투지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의 역사에 큰 흔적을 남겼으며, 현대 대한민국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또한, 김마리아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기간 중에 활동한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업적을 알리기 위해 그들의 초상화를 그려 인물화 작업을 했습니다. 그녀의 작업은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업적을 기리고, 그들이 대한민국의 역사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를 보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이 모든 독립운동가들은 대한민국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헌신한 영웅들로, 그들의 투쟁과 희생은 여성들과 대한민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권리와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매우 훌륭하고 존경스럽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