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스피 지수는 국내의 자금으로 상승장을 만들 수 없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코스피 지수의 상승률과 원인 분석경제성장률과 지수 상승률의 상관관계: 경제성장률이 증시에 반영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것이 반드시 지수 상승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미국보다 높게 유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코스피 지수 상승률이 미국의 나스닥 지수보다 낮은 경우를 보면, 다른 요인들도 상승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증시 규모와 글로벌 자본: 미국 증시는 세계적인 중심 자본시장으로서의 규모와 영향력이 크고, 이는 외국자금 유입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반면, 한국 증시는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로, 국내 자금만으로는 시장에 큰 변동을 주는 것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주식시장 운영 메커니즘 및 영향력주식시장의 상승과 하락 장세: 주식시장에서의 상승장(Bull Market)은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시기를, 하락장(Bear Market)은 주가가 약세를 보이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상승장을 이끄는 힘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국내 자본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투자 흐름, 기업 실적, 경제 정책, 글로벌 경제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Q. 러우 전쟁으로 러시아가 중국의 경제 식민지화 되었다는 표현들을 하던데 어떤 측면에서 경제적으로 종속되었다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러시아와 중국 간 경제관계는 복잡합니다.러시아는 에너지 수출국으로, 가스·석유 등을 주로 중국에 수출하고 있습니다.반면 중국은 러시아의 주요 무역파트너국으로, 제조품과 기술을 수입하고 있습니다.러우전쟁 이후 서방제재로 중국에 의존도가 높아졌다는 평가가 있습니다.중국은 러시아의 자본과 기술을 흡수하며, 에너지는 러시아로부터 공급받고 있습니다.러시아는 중국과의 관계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고립되는 것을 방지하려 합니다.따라서 두 국가 간 경제는 서로 의존적이지만, 러시아가 중국에 완전히 예속된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향후 관계 흐름이 주목됩니다.
Q. 한국 코스피나 코스닥 기업 주가가 저평가받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 증시가 미국이나 일본 증시에 비해 상승폭이 제한된 이유가 있습니다:한국경제가 수출주도형 구조인 반면, IT·반도체 비중이 높은 미국과 일본은 국내수요가 강한 편입니다.한국은 아직까지 코로나19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미국과 일본은 백신 접종률 상승에 따라 경기회복 속도가 빨랐습니다.한국은 주가수익비율(PER) 등 주가평가가 높아 상승여력이 제한되는 반면, 미국은 IT주 등 성장주가 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한국은 수출주도형이지만,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함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합니다.따라서 한국시장은 기업실적 개선과 백신 접종 확대, 무역분쟁 해결 등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입니다.
Q. 신용평가사 피치에서 우리나라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했다던데 이는 어떤 긍정적인 상황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피치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AA-로 유지한 것은 몇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의미가 있습니다.국제금융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는 신뢰를 의미합니다.향후 국채이자율이 낮아지고, 외환시장에서 원화 가치 안정 효과가 기대됩니다.기업과 가계의 외화차입 비용 절감으로 경제성장에 도움이 됩니다.정부의 재정정책 여력이 확보되고, 경기부양책을 더 강력히 수행할 수 있습니다.위기상황에서 글로벌 자금유입이 이뤄지며, 투자 심리가 개선됩니다.다만 악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신용등급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정부의 건전한 재정운용과 신용개선 노력이 긍정적으로 평가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