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제용어 중에서 KPI지표는 어떤 것이고 무엇을 판단할 때 쓰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KPI(Key Performance Indicator)는 핵심 성과 지표라는 뜻으로, 기업이나 조직의 핵심적인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말합니다.일반적으로 기업의 KPI 지표에는 매출액, 영업이익, 시장점유율 등의 재무 및 영업 관련 지표가 사용됩니다.이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 성장성, 사업 역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홍콩 ELS 사태와 관련해서는, 은행 임직원의 성과급이 이 같은 KPI에 연동되어 있다 보니 고수익 상품 판매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Q. 중국의 경제성장률 추이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이 2021년 8.4%라는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작용했습니다.첫째, 코로나 확산 이전인 2019년 대비한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습니다. 2020년 성장률이 2%대로 떨어진 반동이 컸죠.둘째, 코로나 이후 강력한 경기부양 정책이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정부 지원에 힘입은 인프라 투자와 부동산 투자가 크게 늘었습니다.셋째, 해외 수요 회복도 긍정적 요인입니다. 주요국의 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 호조가 성장을 뒷받침했습니다.이외에도 대규모 경제 규모를 바탕으로 한 내수회복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라고 하지만.. 사실 중국은 조작을 많이 해서 왠만한 발표는 믿거 하는게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s://blog.naver.com/wlsdud7039/223358051865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금리가 상승하면 반드시 유동성 자산들이 회수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 상승 시 금리 조정의 역할금리 인상의 목적: 통화 정책에서 중앙은행은 물가 상승률을 조절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수 있습니다. 금리를 올리면 대출 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며, 결과적으로 시중 유동성이 감소하여 물가 상승 압력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유동성 자산 회수: 금리 인상은 이론적으로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을 줄임으로써 유동성 자산을 회수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 조정에 따른 유동성 자산의 회수는 여러 경제적 행위자들의 반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고금리 정책고물가에 대한 대응: 아르헨티나의 경우 역사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하였으며, 정부는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설정합니다. 하지만 높은 금리가 항상 유동성 자산 회수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경제적 불안정, 신뢰의 부족, 다른 경제 정책의 실패 등 여러 복합적인 문제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금리 인상과 유동성의 관계: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시장의 유동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금 금리가 상승하면 저축이 늘어나긴 하지만, 실제로 자금이 회수되어 중앙은행으로 돌아가는 정도는 경제 전체의 수많은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상과 달리 유동성 자산이 회수되지 않는 경우, 더 공격적인 통화 정책 또는 재정 정책 등의 수단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물가를 잡는 다른 방법들재정 정책: 정부의 재정 지출을 축소하여 경제 내 수요 과열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상품에 대한 세금을 조정하여 가격을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공급 측면 접근: 물가 상승의 원인이 공급 측면 문제라면, 생산성 증대, 공급망 장애 해소 등의 방법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외환 정책: 환율 조정을 통해 수입품 가격을 조절하여 물가 안정에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금융감독 강화: 불필요한 투기적 자금 흐름을 억제하여 물가를 안정시키는 방법입니다.
Q. GDP가 가장 높은 나라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GDP가 가장 높은 나라GDP 기준: 미국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GDP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어 중국, 일본, 독일의 순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1인당 GDP: 1인당 명목 GDP에서는 미국이 상위권에 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 나라의 평균 소득 수준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GDP 세계 순위세계 GDP 순위: 대한민국은 세계 GDP 순위에서 10대 경제대국에 근접하거나 속해 있으며, 일본을 뛰어넘는 등의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납니다.선진국 여부: 대한민국은 기술, 경제 성장률 등 여러 분야에서 높은 성과를 내고 있지만, 경제 규모나 1인당 소득 등 여러 기준에서 선진국으로 분류하는 것에 있어서는 여전히 논의가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관점에 따라 선진국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공식적인 기준으로 선진국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최신의 GDP 순위와 관련된 통계는 국제통화기금(IMF) 또는 세계은행(World Bank)과 같은 국제 기구의 정기 보고서를 통해 공개됩니다. 지금까지 나온 정보에 따라 대한민국의 경제는 상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니 긍정적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