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진영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입니다.

김진영 전문가
중앙대학교
Q.  코넥스 시장 주식 거래가 안된상황에서 주가 하락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안녕하세요. 주식 거래량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종가와 시가가 변동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1. 코넥스 시장의 특성: 코넥스 시장에서는 이전 30 거래일의 종가를 평균한 금액과 그리고 전일 종가 중 낮은 금액을 코넥스 시장가격으로 이용하게 됩니다. 거래가 없다면 해당 일은 제외하고 거래가 발생한 30일로만 평균을 구하게 됩니다.2. 주식 거래량과 주가 변동: 주식 거래량이 없어도 주가는 변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식 자체가 소외주라서 조금씩 매수가 들어와서 상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주식시장이 끝나면, 즉 시간외가 되면, 사람들은 생각을 바꾸기 때문에 데이터가 쌓이고, 상당한 거래량이 발생하기 전, 해당 주식의 가치에 대한 추정치가 바뀌고 그것이 반영되어 주가가 변한다.따라서, 거래량이 없는 기간 동안에도 종가와 시가가 변동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이는 주식 시장의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코넥스 시장 같은 경우는 거래량이 매우 적은 특성상 이러한 현상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일본증시는 1989년에는 어떻게 거품이 그렇게 낄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989년의 일본 경제와 최근 닛케이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배경1989년 일본의 증시가 호황을 누리던 시기는 '버블 경제'라 불리며, 부동산 및 주식 시장에 거품이 크게 형성되었습니다. 이 시기의 일본 경제 호황의 원인들을 살펴보겠습니다.1989년 일본 경제 호황의 배경규제 완화와 투자: 1980년대 일본 정부의 금융 시장 규제 완화가 자본의 대량 유입을 촉진했습니다.금융기관의 적극적 대출: 금융기관들이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쉽게 처리하여, 투기적 투자를 조장했습니다.기업과 개인의 자산 가치 상승: 부동산 및 주식 가격 상승으로 기업과 개인의 자산 가치가 크게 늘어났습니다.소비자 심리의 과열: 경제 전반에 낙관적인 소비자 심리가 확산되었고, 이는 고가의 소비와 투자 유도로 이어졌습니다.💥 버블 경제의 붕괴과다한 경제 거품: 당시 일본의 주택 및 주식 시장은 지나친 경제 거품으로 인해 실질 가치에 비해 과도하게 고평가되었습니다.금리 인상과 거품 붕괴: 일본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인상하면서 거품이 꺼지기 시작했습니다.긴 경제 침체기 진입: 이로 인해 일본 경제는 긴 침체기에 진입했고, 이를 '잃어버린 10년' 혹은 '잃어버린 20년'이라고 부릅니다.🎢 최근 닛케이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엔저 현상과 수출 기업 실적 개선: 최근 엔화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수출 기업들의 경쟁력이 향상된 상황입니다.세계 경제 흐름과 외국 자금 유입: 글로벌 경제의 흐름과 외국 자금의 일본 증시 유입이 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중앙은행의 통화 완화 정책: 일본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통화 완화 정책이 경제 및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결론적으로, 1989년의 일본 경제는 금융 규제 완화, 투기적 자본 흐름, 소비자의 낙관심리 등으로 인해 거품이 매우 크게 형성되었습니다. 이 거품은 금융 정책의 변화와 경제 환경의 변동으로 꺼지면서 장기 침체기로 이어졌죠. 최근의 증시 상승은 엔저 현상, 글로벌 경제의 흐름,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경제 부양책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적 역사를 통해 우리는 경제 거품의 위험성을 배우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지혜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물어보세요!
Q.  지급준비자산제도와 지급준비제도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급준비자산제도와 지급준비제도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지급준비자산제도는 은행의 유동성 리스크에 대응하고 지급결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은행이 일정 수준 이상의 유동성 자산을 보유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지급준비제도는 은행이 예금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현금을 지급준비금으로 정해진 계좌에 보유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통화정책 운영 수단으로 활용됩니다.차이점은 지급준비자산제도가 유동성 자산 보유를, 지급준비제도가 지준비금 예치를 의무화한다는 점입니다.
Q.  지니계수와 지로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지니계수(Gini Coefficient)는 소득 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고르게 분배되어 있다는 의미이고, 1에 가까울수록 소득 양극화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대한민국의 지니계수는 OECD 국가들 중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소득분배의 불평등 정도가 큰 편입니다.지로(GIRO)는 은행 간 자금을 실시간으로 이체할 수 있는 전자지급결제시스템을 말합니다.지로를 통해 별도 수수료 없이도 24시간 언제든지 은행간 송금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미국의 금리인하가 아직 안됐는데 왜 주가는 상승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증시가 계속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첫째, 미국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 자체가 견조합니다. 경기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자리나 소매판매 등이 크게 위축되지 않고 있습니다.둘째,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주식시장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유동성 공급 확대와 경기부양을 기대한 것입니다.셋째, 미중 무역협상 진전 기대 등도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습니다.다만 연준의 본격적인 금리인하 시작 시점이 확실해지면 오히려 악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경기침체 우려를 반영하여 주가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1261271281291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