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중국 부동산 버블이 터지지 않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 부동산 시장은 그동안 지속적인 가격 상승으로 인해 버블 우려가 있습니다.중국 정부가 부동산 시장을 지속적으로 규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버블이 붕괴되지 않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첫째, 중국의 도시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어 부동산 수요가 높다는 점입니다. 많은 인구가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하면서 주택 구매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둘째, 중국 내 수익성 있는 투자 대안이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주식시장이나 채권시장이 선진국에 비해 발전하지 못했고, 부동산 투자가 가장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셋째, 중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부동산 시장 조정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급격한 시장 조정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고 있습니다.이에 따라 당분간 중국의 부동산 버블이 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정부의 규제 강화에 따라 시장 변동성은 커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Q. 요즘 인도로 생산공장을 옮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도로 생산공장 이전 증가 현상 이유 분석많은 기업들이 중국이나 베트남에서 인도로 생산공장을 이전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주요 이유들대체 시장: 중국과의 무역 갈등, 노동 비용 상승 등으로 인해 인도가 중국의 대체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정부 정책: 인도 정부는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한 여러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과 같은 산업 촉진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시장 규모: 인도는 거대한 내수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려는 기업들이 많습니다.경제 성장: 최근 몇 년 간 중국에 비해 인도의 경제 성장률이 높은 편으로, 이는 투자를 유치하는 데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인도의 장단점장점인적 자원: 인도에는 젊은 인구가 많고, 노동인구가 풍부하여 생산 기반이 좋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경제 동반자: 인도는 국제적으로 여러 경제 동반자 관계를 맺으며 통상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단점인프라 발전 속도: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프라 발전 속도가 느린 편입니다.정치적 안정성: 정치적 요인에 따라 기업 환경에 불확실성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기업들은 다양한 이유로 인도 시장에 주목하고, 생산공장 이전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인도 정부의 적극적인 유치 노력과 거대한 잠재 시장 크기는 매우 큰 매력으로 작용하고 있죠. 다만, 인도에 진출하는 것이 언제나 최선의 선택인지, 그리고 어떠한 어려움이 있을지는 기업마다 꼼꼼한 분석과 계획이 필요할 거예요.
Q. 배당을 주는 주식에는 배당락이 나타나는데 그러면 조삼모사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배당주의 배당락 현상에 대한 지적은 적절한 관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배당락이란 기업이 배당금을 지급한 뒤 주가가 배당금액만큼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기업의 배당정책에 따라 배당락 폭이 다르기는 하지만, 결국 기업의 현금흐름에서 배당금액만큼 차감되기 때문에 주가도 이에 상응하여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따라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배당을 받았지만 주가 하락으로 인한 손실까지 감안하면 실질적인 이익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죠.다만 기업의 성장성, 배당 정책의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