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개인형 연금저축과 IRP계좌 최대한 받을수 있는 혜택은?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연금저축과 IRP(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활용하면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연금저축의 경우, 매년 700만원까지 가입할 수 있고 최대 세액공제 혜택은 140만원입니다.IRP 계좌의 경우, 연 700만원까지 투자하면 15.4%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최대 환급 혜택이 108만원입니다.따라서 연금저축과 IRP 계좌를 모두 가입한다면, 매년 700만원씩 총 1,400만원을 납입하면 최대 248만원(140만원 + 108만원)의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다만 해당 금액을 정확히 맞추기는 어려우므로, 본인의 소득 수준과 세금 납부액을 고려하여 저축 규모를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최근 몇년간 실질임금 흐름과 명목임금 상승률은 어떤 흐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근로자들의 실질임금과 명목임금 상승률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질임금: 지난해 실질임금은 전년보다 1.1% (3만8천원) 줄었습니다. 이는 물가상승률이 임금 상승률을 초과했기 때문입니다. 실질임금은 근로자들이 받는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눠 100을 곱한 값으로, 물가를 고려한 임금의 실질적 가치를 나타냅니다. 작년 근로자들의 1인당 월평균 명목임금은 396만6천원으로, 전년 (386만9천원) 대비 2.5% 올랐으나, 소비자물가지수는 3.6%로 더 가파르게 오르면서 실질임금이 후퇴했습니다.- 명목임금 상승률: 지난해 1인당 월평균 명목임금은 396만6천원으로, 전년 (386만9천원) 대비 2.5% 올랐습니다. 그러나 이는 물가상승률을 반영하지 않은 수치입니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하면 실질임금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최근 5년간 최저임금과 전년 대비 인상률은 2019년 8천350원 (10.9%), 2020년 8천590원 (2.87%), 2021년 8천720원 (1.5%), 2022년 9천160원 (5.05%), 올해 9천620원 (5.0%)으로 나타났습니다.이러한 통계는 물가상승률과 임금 상승률 사이의 괴리를 보여주며, 이는 근로자들의 생활비 부담을 늘리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Q. 금융위에서 이번에 밸류업 기준미달 상장사들의 상폐를 어떤식으로 진행하겠다는 계획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융위원회가 밝힌 상장폐지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먼저, 상장기업이 밸류업(Value-up) 프로그램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금융위원회는 해당 기업에 경고를 줍니다.경고를 받은 기업이 1년 내에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금융위원회는 이를 거래소에 통보합니다.거래소는 통보를 받은 상장기업에 대해 개선계획을 요구합니다. 개선계획이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거래정지,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상장폐지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상장폐지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거래소가 상장기업에 상장폐지 사전고지상장기업의 이의신청 기간 보장상장기업의 의견 청취거래소 이사회의 상장폐지 결의결의 후 20일 이내 상장폐지
Q. 경제학에서 말하는 메뉴효과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경제학에서 '메뉴 효과(menu effect)'란 음식점에서 메뉴의 구성과 제시 방식이 소비자의 주문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대표적인 예시로, 음식점 메뉴에서 가장 비싼 술이나 음식을 제일 위나 가장 크게 표시하면 소비자가 그 항목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가 메뉴의 첫 항목이나 가장 눈에 띄는 항목에 주목하고, 그것이 음식점의 대표 메뉴나 추천 메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또 다른 예시로, Combo 세트 메뉴를 제공하면 소비자가 개별 메뉴 대신 Combo 세트를 주문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도 메뉴 효과의 한 종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