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Q.  외계 생명체의 존재와 교류 우주에는 우리 인류 외에 다른 생명체가 존재할까요?
안녕하세요. 외계 생명체의 존재는 오랫동안 과학계와 대중 문화에서 논의 주제가 되어왔습니다. 현재까지는 외계 생명체의 명확한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으나, 이는 우주의 방대한 규모와 미지의 영역을 고려할 때, 다른 형태의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기 어렵습니다. 우주에는 약 1000억 개의 은하가 있으며, 각 은하에는 수십억에서 수천억 개의 별이 존재합니다. 이 별들 주위에는 지구와 유사한 조건을 가진 행성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행성들은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밖의 UFO와 외계인의 증거로는 신의 지문이라는 책이나 얀센부자-실제로 북극에서 실종되었다가 남극에서 구조됨-의 지구속 문명 등과 같은 책에서 신의 영역 또는 고도로 발달된 지능체에 대한 언급들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인터넷에 유명하고 섬세한 외계인과의 인터뷰는 라서타 인터뷰라는 문서가 있습니다. 외계 생명체와의 소통 및 교류는 그들이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어떻게 우리가 이들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지, 또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여부는 아주 근본적인 질문이라 생각합니다. 아직 대면하지 못했기에 그 어떤것도 장담할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또, 소통은 우리와 외계 생명체 간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가 관건이 될 것입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세티(SETI,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공간을 탐색하며 비정상적인 신호를 포착하려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외계 문명의 신호를 해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Q.  우리가 시간당 얼마 거리를 가는 것은 /h 라고 표현을 하는데 빛은 어떻게 표현하나요?
안녕하세요. 빛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초당 이동하는 거리로 표현하며, 이를 물리학에서는 "미터/초" (m/s)라고 표기합니다. 빛의 속도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보통 '초' 단위로 거리를 측정하고, 그 속도는 극히 높은 수치를 가집니다. 진공 상태에서 약 299,792,458 미터/초 (약 3.00 x 10^8 m/s)로, 이는 초당 약 300,000 킬로미터에 해당합니다. 이 수치는 빛이나 다른 전자기파가 진공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최대 속도이며, 이를 "c"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물리학에서 'c'는 광속의 상징적인 표기로 사용되며, 상대성 이론과 많은 물리 법칙에서 중요한 상수로 다루어집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를 표현할 때는 보통 시간당 킬로미터 (km/h)와 같은 단위보다는 미터/초 (m/s) 단위를 사용합니다. 이는 빛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더 작은 시간 단위에서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표준화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Q.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가장 큰 변화를 겪은 순간은 언제였으며, 그 변화는 어떤 것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삶에 도움이 되거나 큰 깨달음을 얻는 많은 좋은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개인에게 겪은 순간을 묻는 질문이라 이해됩니다. 제 개인적인 삶에서의 큰 변화의 순간은 20대 때 세계일주를 했던 시기가 가장 큰 근간을 만들어 준 것 같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세계 모든나라를 다녀온 것이 아니니 세계일주는 아닐 수 있습니다. 적도를 한바퀴 돌았다라는 표현이 맞을 것 같군요. 말이 통하는 나라, 통하지 않는 많은 나라의 사람들을 걷고, 타고 다양하게 만나오면서 인간관계를 쌓았던 경험은 한국에 들어와 생활하면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현재 나의 근간을 이루는 성향 성격의 바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20대 이후의 삶 속에서 가장 큰 변화는 자녀의 출산 이후의 삶이라고 생각되네요. 아직도 진행중이고, 그 종결이 어디인지는 알 수 없으나, 자녀를 통해 많은 부분을 느끼면서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Q.  과학지식은 항상 객관적이다 vs. 과학지식은 사회문화적 관점과 가치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
안녕하세요. 이 주제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사례 중 하나는 20세기 초부터 중반에 걸쳐 발전한 호르몬 대체 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사례는 과학적 연구 결과가 어떻게 객관적일 수 있는지와 동시에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영향을 어떻게 받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과학 지식의 객관성 부분에서 호르몬 대체 요법은 갱년기 여성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여성 호르몬을 보충하는 치료법입니다. 과학자들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심혈관 질환과 골다공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객관적인 임상 실험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것이며, 이는 과학 지식의 객관성을 대표합니다.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에서 HRT의 사용과 권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가지 사회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초기에는 여성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되었으나, 후에 여러 임상 연구를 통해 장기적인 사용이 유방암, 심장 질환,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나타나면서 사용 지침이 크게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HRT에 대한 인식은 페미니즘, 여성의 노화에 대한 사회적 태도, 제약 산업의 마케팅 전략 등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형성되고 변화되었습니다. 호르몬 대체 요법 사례는 과학적 연구가 어떻게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진행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한편, 그 연구 결과의 해석과 응용이 어떻게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이는 과학 지식이 객관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하지만, 그 지식이 사회 내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이해되는지는 넓은 문맥 속에서 판단되어야 함을 시사합니다.
Q.  유체역학이라는 학문이 무엇이며, 어떤 분야를 다루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체역학은 유체의 움직임과 힘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여기서 유체란 액체와 기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유체의 행동과 그 특성, 다양한 조건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유체역학은 크게 점성 유체역학(Viscous Fluid Dynamics), 이상 유체역학(Ideal Fluid Dynamics)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점성 유체역학은 유체 내부의 점성(내부 마찰) 효과를 고려하여 유체의 흐름을 다룹니다. 이 분야에서는 유체의 점성이 흐름에 미치는 영향과 유체가 고체 경계면을 따라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연구합니다. 이상 유체역학에서는 점성이 없는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하여 유체의 흐름을 다룹니다. 이 분야는 유체가 점성에 의한 내부 마찰이 전혀 없을 때의 이론적인 움직임을 탐구합니다. 유체역학이 다루는 주요 분야는 유체 정역학, 유체 동역학, 응용 유체역학 등 적용 범위가 매우 넓어 다양한 공학 분야, 자연과학, 의학, 환경과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공기역학적 설계, 수력발전소의 최적 운영, 혈액 순환 연구, 대기 오염 확산 예측 등에 유체역학의 원리가 적용됩니다. 또한, 기후 변화 연구와 같은 지구과학 분야에서도 유체역학은 기본적인 도구 중 하나로 사용됩니다.
2612622632642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