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Doctor of Public Health 전상훈입니다

전상훈 전문가
을지대학교
Q.  남자아이는 파랑을 선호하고 여자아이는 분홍을 선호하는 것은 유전적인 특성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남자아이가 파랑을, 여자아이가 분홍색을 선호하는 경향은 유전적인 특성보다는 주로 환경적, 문화적 영향에 의해 형성된 결과로 이해됩니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색깔 선호에 관해 특정한 유전적 기질이 작용한다는 증거는 매우 제한적이며, 색깔에 대한 선호는 주로 사회적 학습과 문화적 관습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구 사회에서 남아는 파랑, 여아는 분홍이라는 색의 상징이 시작된 것은 20세기 초반으로 비교적 최근입니다. 1940년대에 들어서야 이러한 색상 연결이 정착되었고, 그 후로 마케팅과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러한 경향이 보편화되었습니다. 이전까지는 오히려 분홍색이 남성성을, 파란색이 여성성을 상징하기도 했습니다. 즉, 이러한 색상 선호는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만들어진 관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색상 선호가 인간의 진화적 배경과 연결될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이는 사회적 학습이 강력하게 작용하는 특성과 결합됩니다. 예를 들어, 여자아이들은 사회적 영향력에 의해 분홍색이 자신들과 더 관련이 깊다고 배우고, 이러한 학습을 통해 분홍색을 선호하는 경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남자아이들도 마찬가지로 파란색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경험을 통해 파란색을 선호하게 되는 경향이 생깁니다.
Q.  액체를 끓이고 하는것도 화학적 변화라고 볼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액체를 끓이는 것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변화로 간주됩니다. 화학적 변화와 물리적 변화의 구분은 변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성질의 차이에 기반합니다. 화학적 변화는 원래의 물질이 새로운 화학적 성질을 가진 다른 물질로 변환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원자나 분자의 화학적 결합이 깨지거나 새로 형성됩니다. 반면, 물리적 변화는 물질의 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물질의 상태나 형태가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액체를 끓이는 과정에서는 액체가 기체 상태로 변환되지만, 이는 물질의 화학적 성질을 변경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물(H₂O)을 끓일 때, 물 분자는 여전히 물 분자로 남아 있으며, 단지 상태만 액체에서 기체로 변할 뿐입니다. 이러한 상태 변화는 물리적 변화의 전형적인 예로, 화학적 구조의 변화는 동반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화학적 변화의 예로는 철이 산화되어 녹이 되는 경우, 나무가 연소되어 탄소와 물을 생성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물질의 내부 구조가 변하고,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Q.  인간의 뇌는 우리가 어느정도까지 알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인간의 뇌에 대한 이해는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으나, 그 복잡성과 다양성 때문에 완전한 이해의 정도를 정량화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현재로서는 인간의 뇌 구조와 기능의 기초적인 부분들 ㅡ예를 들어, 각 뇌 영역의 주요 기능, 뉴런의 작동 방식, 신경전달 과정 등ㅡ에 대해 상당한 지식을 축적하였습니다. 하지만, 뇌의 전체적인 작동 메커니즘, 의식의 본질, 복잡한 인지 과정 등 여전히 해명되지 않은 수많은 미스터리가 남아 있습니다. 현재의 과학 기술로는 뇌의 작동을 완벽히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뇌 연구 분야에서의 발전은 비선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경과학의 발전은 뇌 이미징 기술의 진보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뇌의 활동을 더욱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의 적용은 뇌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뇌의 전체적인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Q.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잡히는 생선은 어떤 생선인가요?
안녕하세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잡히는 생선은 엔쵸비(anchovy)입니다. 엔쵸비는 작은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그 어망에 의해 대량으로 포획되며, 식품 산업과 먹이 사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엔쵸비는 주로 기름진 생선으로 알려져 있으며, 강한 맛과 향이 특징입니다. 이는 피자 토핑, 각종 요리의 재료, 멸치 대용품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됩니다. 또한, 엔쵸비는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다양한 해양 포식자들의 먹이 기반을 제공합니다. 엔쵸비 외에도 청어(herring)와 정어리(sardine)같은 작은 기름진 생선들도 대량으로 잡히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소비됩니다. 이러한 생선들은 인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양 동물들에게도 중요한 영양원을 제공하므로, 어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  강산이나 강염기가 피부손상을 일으키는 원리
안녕하세요. 강산과 강염기가 피부에 손상을 주는 원리는 두 화학물질이 피부의 세포와 조직에 미치는 화학적 영향에서 기인합니다. 강산과 강염기 모두 공격적인 화학 물질로, 피부에 닿았을 때 심각한 화학적 화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강산(ex : 황산, 염산)은 피부에 닿을 때, 프로톤(H⁺)을 방출하여 조직의 세포를 신속하게 파괴합니다. 이 포로톤은 세포 내의 단백질 구조를 변성시키고, 세포막을 손상시킵니다. 강산의 작용은 매우 빠르게 일어나며, 조직에 신속한 손상을 유발하고 심한 통증을 동반합니다. 강염기(ex :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칼륨 하이드록사이드)는 하이드록사이드 이온(OH⁻)을 방출하여 작용합니다. 이 하이드록사이드 이온은 세포 내의 지질 성분과 반응하여 지방화학반응(즉, 비누화)을 일으킵니다. 이 반응은 피부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을 분해하고, 결국 세포가 파괴됩니다. 강염기의 손상은 종종 강산보다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는ㄷ, 이는 강염기가 피부에 더 깊숙이 침투하여 지속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강산은 접촉 즉시 빠르고 강력한 손상을 유발하는 반면, 강염기는 접촉 후 손상이 서서히 진행됩니다. 초기에는 강산의 손상이 더 눈에 띄게 나타나지만, 강염기의 손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훨씬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강염기는 피부 조직에 더 깊숙이 침투하여 광범위한 손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3163173183193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