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앵그리버드
앵그리버드

김값이 상승하고 있다던데 제조업체에서는 충분히 생산을 안하는걸까요?

김값이 상승하고 있다던데 제조업체에서는 충분히 생산을 안하는걸까요?

그런 의심이 드는게 어부들은 김을 채취해도 가격이 폭락해서 차라리 폐기하는걸 택한다고 하니까요.

제조업체에서는 가격을 인상해서 쉽게 돈을 버는 정책을 취하는게 아닌가 의심이 들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김값이 상승하는것은 현재 김이 공급량이 크게 늘지 않는 상황입니다. 그동안은 국내 김은 국내수요가 대다수였으며 이에 생산설비가 국내 수요의 설비에 맞춰있었으며 특정 대형사에서 집중되어 있는곳이 아닙니다.

    근데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 이후 지속적으로 김수출이 크게 증가하였고 최근 2~3년사이 매년 수출량이 배이상으로 급증하다보니 김 공급량이 바로 늘기가 힘든 상황에서 수요량이 폭증하다보니 김가격이 폭등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물김 가격 하락으로 경매에 유찰된 김은 바다에 폐기되는 상황인데, 제조업체의 수용량을 넘어서다보니 폐기되는 김이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내수에서 판매하는 것 보다 해외에 수출하는 것이 더 가격을 쳐주고 있고 그 김을 생산하는

      제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 결과적으로 김을 제조하는 곳에서는 더 높은 수익을 위해서 내수 보다는 해외에 판매할

      김 생산에 더욱 집중하고 있고 내수에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급등했다고 느끼기 충분한 결과 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김생산 여력은 충분합니다. 다만, 현재의 생산능력에 비해서 국내외 수요가 더 크게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과거 김 제조 회사는 영세하고 자본력이 충분치 않았는데 K푸드 중심에 김이 있고 중국 관광객들이 국내 여행 시 반드시 사가는 필수품이 되면서 글로벌 인지도가 급상승했습니다.

    대기업 계열이 아닌 성경김 등이 사모펀드에 매각되기도 했습니다. 김 제품의 특성 상 완제품을 상당 기간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통 과정에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김값 상승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김의 수요가 늘어서 김 생산량을 늘였지만

    문제는 생산 시설 (공장)이 부족해서

    생산량은 여전히 그대로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농산물을 생산해서 들어가는 비용이 생산을 해서 버는 수익보다 많이 나가개 된다면 해당제품을 판매하는것이 손해인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런경우에는 차라리 노동력을 투입하지 않거나 폐기를 해서 수익이 비용보다 많이 나오도록 조정을 해야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생산자는 수익을 내지 못해 결과적으로 봉사만 한 상황이 되기 때문입니다.

    자본주의 단순한논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김값 상승은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기후 변화, 생산량 감소,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제조업체의 가격 인상이 아닌 자연적 요소가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수온 상승과 염분 농도 변화 등으로 김의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산 김은 해외에서 인기가 높아서 수출 물량이 늘어나 내수 공급량이 줄어들면서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원자재 및 물류 비용도 지속 상승중이여서 가격이 올라살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