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우리나라 주식시장 코스피가 급락해서 겨우 2.400선을 유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에전에도 이렇게 우리나라 증시가 녹아 내린 적이 있었나요?

현재 지속적으로 우리나라 증시인 코스피가 급락을 해서 이제 겨우 2.400선을 유지하고 있다고합니다. 에전에도 우리나라 증시 이렇게 녹아 내린 적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과거 트럼프 1기 때도 급락이 있었던 적이 있고 우리나라 증시의 별명 답게 박스피로 갖혀있는 상황입니다

    • 이렇게 녹아 내린 후에 또 다시 어느정도 바닥을 다지고 상승하는 특징이 있는 주식시장이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들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운 시장입니다

    •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 투자자들은 국장을 팔고 코인과 미국시장으로 들어가는 모습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코스피가 박스피라 불리는 이유가 2-3000 왔다갔다 한지 십수년째죠

    월봉으로 차트 보시면 예전에도 이렇게 녹아 내린적 많습니다 참 답없는게 국장이죠

    요즘 국내 주식시장은 너무 어렵습니다 저도 수익률이 안좋아서 답답하네요

    질문자님은 부디 대응 잘하셔서 큰 수익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증시가 흘러 내리는 시기가 상당히 많았습니다.

    코로나 직후 코스피가 3300을 넘는 등 하였으나

    이후 다시 급락하는 등 이러한 경우가 자주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단순히 2400 아래는 여러 사례들이 있습니다. IMF위기, 2008년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재정위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이 대표적이 예입니다.

    하지만 질문주신 내용이 단순히 2400아래일 경우를 말씀하신 것 아닌 것 같고, 큰 폭으로 하락한 경우가 있는지가 궁금하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가장 가까운 사례를 보면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 코스피 지수는 약 18% 하락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인한 하락이었습니다.

    증시는 항상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합니다.

    이럴 때 일수록 감정에 치우치지 말고 냉철한 시각을 가지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 2016년도부터는 코스피가 2000을 넘겼고요 코로나 전후로 조금씩 변동은 있었습니다 물론 코로나 때 제로금리여서 부동산과 주식 시장이 폭등을 했기 때문에 특히 카카오 같은 주식만 봐도 대번 알 수는 있습니다 어찌 보면은 이게 뉴 노말일 수도 있습니다

  • 심하게 내린 적은 여러 번 있습니다. 이천 년이나 2008년이나 2016년이었던가 이럴 때도 증시가 심하게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지금은 우리나라 자체적인 문제와 미국 대통령 선거로 인해서는 외부 변수가 함께 섞여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 서브프라임모기지로 인한 금융위기로 세계경제 악화와 코로나19 전염병으로 급속히 시장이 얼어붙은 경우가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