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계부채 하락률이 세계 2위인 이유를 알려주세요
방금 뉴스기사를 보았는데 최근 우리나라 가계부채 하락률이 영국에 이어 세계2위라고 하더군요
몇 달 전만 해도 우리나라 가계부채때문에 경제위기가 올 수 있다 없다,위험한 상태이다 말이 많았는데
부채하락률이 이렇게 높아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금융당국은 어떤 정책을 실시 했나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최근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하락률이 높아진 배경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금리인상의 영향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의 금리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오르면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둘째,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정책 강화입니다. 정부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강화, 전월세대출 규제 등을 통해 가계부채를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셋째, 부동산시장의 영향도 있습니다. 부동산 규제로 인한 시장 둔화가 가계부채 증가세를 제한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으로도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DSR 규제 기준을 더욱 강화하는 방안이 검토 중에 있다고 하니 차질없이 이행될 경우 가계부채 하락세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계부태 하락률이 높아진 이유는 스트레스 DSR 제도의 시행과 더불어 미국의 조기 기준금리 인하 연기로 인한 여파라고 전망됩니다.
고금리 기조와 더불어 스트레스 DSR 제도의 시행으로 가계부채 증가세에 제동이 걸렸으며, 고금리 기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 역시 대출 상승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고금리와 부동산 거래가 부진하고
대출 등에 있어서 규제가 잇따르면서
가계부채 하락률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부동산 경기 부진에 대출 수요가 줄어든데 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가계부채 감소율이 저조한 이유는 다른 국가들은 인플레이션 하락을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였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오히려 인상을 누르게 되었고 부동산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서 부동산의 정책을 오히려 풀어주게 되면서 주택과 관련한 대출이 증가하게 되는 모습을 보이다 보니 이러한 부채감소율이 저조한 현상을 보이게 되었어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한국 가계부채 하략률이 세계 2위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마도 이는 기저효과라고 보여지는데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2020년 이후 무려 23년까지 4년간 연속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비율의 하락도 클 수 있는 것이 이미 너무 높이 올라가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