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사태가 수습되면 국내 시장금리가 다시 2%대로 돌아갈 수 있을까요?
3년간의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세계적 유동성 증가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가져온 공급망 붕괴가 유래 없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하여 강달러 현상과 고금리가 세계경제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지난 약 20년간 2%대를 유지해 오다가 7~8%까지 올라온 시장금리가 2~3년 후에 다시 2%대로 돌아갈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러시아와 우쿠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그리고 영국과 중국의 경제변화,또한 기후변화등에 따른 곡물생산감소등 여려 경제적 이슈가 많아 사실 지금의 시장은 변동성이 커서 예측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다만 인플레이션 영향에 따른 금리인상으로 인플레이션이 어느정도 안정화가 되면 어느정도 회복은 될수 있겠으나 원유가격안정화등 변수등이 많아 예측도 힘들어보이네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2~3년 내로 기준금리가 2%대로 돌아가기는 매우 어려울 듯 합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이 잡힐 기미가 보이지 않으며 인플레이션의 원인 중 하나인 중국은 여전히 제로코로나 정책을 펼치고 있고 러,우전쟁도 장기화되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부분들이 모두 해소된다고 할지라도 연준은 과거 폴볼커 연준의장 시절처럼 금리인하 시 인플레이션이 다시 나타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최대한 보수적으로 움직일 것입니다.
따라서 적어도 5년이상은 되어야지 금리가 인하가 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다만 이는 세계경제에 큰 문제가 없다는 전제이며 만약에 경제위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시 금리를 낮출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만약 인플레이션이 잡히고 정상범주 내로 들어온다면 다시 금리인하를 하여 2%대로 내려오는 것도 가능합니다. 지금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금리인 것이고 이대로 금리가 굳어져 안 내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기준금리가 많이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인플레이션의 억제수단으로서 활용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최근 엄청난 저금리로 인한 호황(?)이 이루어지다가 지금 금리인상이 이어지고 있는데, 경제는 지속적으로 순환하게 되며, 언젠가는 다시 기준금리가 낮아지는 순리가 찾아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대로 고물가가 잡히거나 경기침체가 심각할 경우 다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는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빠르게 올리고 있는데 미국 외 신흥국들과 주요국들의 경기 침체가 본격화 할 경우 금리 인상 기조를 조절할 가능성이 있고 내년 하반기부터 점진적 인하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변동성 매우 큰 글로벌 경제 상황이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외부 변수가 하나씩 해결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3년 후에 금리가 2%대로 돌아갈 수 있을지는 아무도 모릅니다만
현재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물가상승률이 각 중앙은행들의
목표치인 2%에 도달하고 경기가 침체되는 등 여러가지 조건이 있을 때
금리가 인하될 것이기에 아직 확단하기는 이른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난 20년간 2%대의 금리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것은 조금 잘못 알고 계신내용 같아요.
2008년도 금융위기 당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5.25%였고,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는 1년물 기준으로 7.5%까지 갔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 경기가 안정됨에 따라서 금리가 점차적으로 낮아져서 기준금리가 0.25%까지 내려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경제위기는 IMF나 금융위기보다 심각한 상황으로 보시는 것이 좋은데요. 과거 위기는 한 지역에 국한된 위기였다면 지금의 위기는 세계 모든 국가들이 인플레이션이 증가하고 있고, 미국발 기준금리 인상은 각국가로 하여금 환율방어를 위해서는 금리 인상을 해야하니 울며 겨자먹기로 금리를 따라 올리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의 개인과 기업들의 부채가 최근 12년 이래로 가장 많은 상황이며 특히나 개인의 경우는 80%이상이 변동금리 구조로 이루어져있어서 금리인상으로 인한 개인들의 부실화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최근 건설사들의 PF대출 부실화는 뇌관이 되서 심각한 경제 타격을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경제타격을 받게 될시에 회복기간은 2년이내로는 힘들 것으로 보이나 금리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침체에 따른 경기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2년뒤부터는 조금씩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있습니다.
하지만 2%대의 대출금리까지 도달하려면 최소한 4년이상은 봐야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상당수 경제학자들은 Fed가 내년까지 통화긴축 정책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Fed가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시기는 빨라도 2024년일 것으로 전망되며 Fed가 2024년 하반기나 그 이후에 기준금리를 다시 낮추기 시작할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