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식물 뿌리에서부터 물의 흡수 경로는 어떻게 나타나나요?

안녕하세요. 식물체는 뿌리로부터 물을 흡수하고 물의 흡수 경로는 세포벽 경로, 세포질 경로, 공동체 경로 등으로 나눠진다고 하는데 각각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식물 뿌리에서 물을 흡수하는 세 가지 주요 경로는 이동하는 공간에 따라 구분됩니다. 첫째, 세포벽 경로는 물이 세포의 원형질막을 통과하지 않고 세포벽과 세포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이며, 저항이 적어 이동 속도가 빠르지만 내피세포의 카스파리선에 의해 막힙니다. 둘째, 세포질 경로 또는 막통과 경로는 물이 각 세포의 세포막과 액포막을 직접 통과하여 세포 내부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셋째, 세포질 연락사 경로는 물이 한 세포의 세포질로 들어간 뒤, 세포와 세포 사이를 잇는 통로인 세포질 연락사를 통해 인접한 세포의 세포질로 직접 이동하는 경로로, 모든 세포질이 연결된 하나의 공동체처럼 이동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세포벽경로는 세포벽 공간을 따라 확산되는 길이고, 세포질경로는 원형질 연락사로 연결된 세포 내부를 거치는 길이랍니다.

    공동체경로는 세포막을 여러 번 통과하며ㅕ세포 내외를 오가는 방식으로 물을 이동시킨답니다.

  • 식물 뿌리의 물 흡수 경로는 물이 이동하는 공간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뉩니다.

    첫번째는 물이 세포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세포벽의 틈을 따라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이 경로는 빠르게 물을 운반하지만, 뿌리 내피의 카스파리 선에 의해 차단되게 됩니다.

    두번째 물이 세포 내부의 세포질을 통해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인접한 세포들은 원형질 연락사로 연결되어 있어 물이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는 물이 세포벽과 세포막을 반복적으로 통과하며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물은 세포막의 아쿠아포린이라는 단백질을 통해 이동하며, 이 경로는 식물이 물 흡수량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식물의 뿌리에서 물이 흡수되어 줄기를 거쳐 잎까지 올라가는 과정은 매우 정교한 경로를 따르며, 특히 뿌리 피층에서의 이동 방식에 따라 크게 세포벽 경로, 세포질 경로, 공동체 경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선 세포벽 경로란 세포벽과 세포벽 사이의 공간, 세포간극 등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방식으로 세포질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세포막을 거치지 않은 채 비세포질적 공간을 따라 빠르게 이동합니다. 이때 물의 확산 속도가 빠르며 뿌리 표피에서 내피 직전까지 효율적으로 이동 가능합니다. 그러나 내피의 카스파리안 띠에서 차단되며, 이는 수베린이 함유된 방수 구조로, 세포벽을 통한 단순 확산을 막고, 결국 물은 세포막을 통과해야만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세포질 경로란 물이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질로 들어온 뒤, 원형질연락사를 통해 인접한 세포의 세포질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방식입니다. 세포막을 한 번 통과해야 하므로 선택적 투과성이 작용하며 물과 용질의 선택적 조절 가능한데요, 이떄 세포질 내부를 거쳐 내피까지 도달하므로, 카스파리안 띠의 차단에 직접적 영향을 받지 않으며 경로 자체는 세포 내부라 속도는 느리지만,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마지막으로 공동체 경로란 물이 한 세포에서 세포막을 통해 들어갔다가 다시 빠져나와 인접 세포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인데요, 세포막을 여러 번 오가며 이동하며 물과 용질 이동에 있어 가장 정밀한 조절이 가능합니다. 상대적으로 에너지 소모가 크고 속도는 느릴 수 있으며 이온 농도 조절, 수분 스트레스 상황과 같은 특정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