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유연한꾀꼬리234
유연한꾀꼬리234

한국 은행에서 금리를 0,25 올리면?

다달이 오르는 은행 이자 때문에 한숨 만 절로나옵니다ᆢ

한국 은행에서 금리를 0,25% 올리면

시중 은행에서 소비자에게 받는

실질적 금리는 몆% 정도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듬직한집게벌레78
      듬직한집게벌레78

      안녕하세요. 김소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은 한국은행에서는 이번 달은 금리 인상 발표가 없고 다음 달에 있습니다. 아마도 0.25% 인상 하는 베이비스텝이 예상되고 있는데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시장의 분위기를 선반영하기 때문에 금리인상이 예측될때는 매일 조금씩 반영이 되고 있습니다. 즉 한국은행에서 발표를 해도 정확히 다음날 0.25%가 올라가는 게 아니고 이미 어느정도 올라가있을겁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받는 금리는 개개인들마다 차이가 매우 커요. 현재 전액 담보 금리는 4.5에서 5.5% 사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고요. 신용 금리는 5% 이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기본적인 산출 금리를 말씀드리는 것이고 감면 받 는 혜택에 따라 최종 금리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통화위원회가 말하는 기준금리는 절대적 기준이 아니라서 시중은행들은 그 기준금리 인상에 맞추어 본인들의 판단하에 금리를 올리게 되는데요. 보통은 기준금리가 올라가는 것에 25%정도를 더 높여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금융통화위원회가 10월 14일에 예정되어 있는데, 시중은행의 경우는 그 전부터 금리가 움직이기 시작합니다.미국의 FOMC가 9월 20~21일에 예정되어 있는데 이때 금리를 올리는 상황을 보고 예측들을 하게 됩니다.

      환율의 상황이 1,400원을 돌파해서 이제 더이상 금리 인상을 늦출수 없다라는 기류가 확산되기 시작하면 0.5%를 올릴수도 있다는 예측이 확산되고 이에 10월 14일 기준금리가 발표되기도 전에 은행들은 예금이나 대출금리를 조절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우리 눈에 보이고 바로 영향을 끼치는 것은 대출금리다 보니 대출금리가 오르는 것이 먼저 보일수 있을거에요

      다시 돌아와서 기준금리 상승 가이던스를 0.25%를 제시하게 되면 시중은행은 한번에 올리지는 않고 금리인상 발표전부터 천천히 인상시켜서 인상금리의 25%에서 30%사이를 더 가산해서 올릴거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은행금리라고 부르는 것은 기준금리와 가산금리(은행이 가산하는 금리)로 이루어져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거래할 때 사용하는 금리로 한국 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우리 경제를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매달 경기, 물가 및 금융시장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각 은행은 한국은행에 돈을 빌릴때 기준금리에 따라 돈을 빌리기 때문에 기준금리가 은행금리에 반영됩니다.

      또한 은행은 해당 자금을 대출할때 자신의 가산금리를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가산금리에는 취급비용, 신용원가, 상품이익, 우대금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은행연합회에서 각 은행별 대출금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portal.kfb.or.kr/compare/loan_household_new.php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 대출금리는 보통 COFIX 금리를 기준으로 3개월 혹은 6개월을 주기로 변동이 이루어지는데요. COFIX금리도 최근 3개월 동안 거의 1%가 올라간 상황입니다.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최소 기준금리 상승분 만큼 은행 대출 금리로 오른다고 보시는 것이 간단한 방법일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기준금리를 0.25% 올린다면

      이와 비슷하게 대출금리 등이 올라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달금리가 더 높아진다고 하면 더 많이 오릅니다.

      1금융권의 예금이자 등은 이와 비슷하게 오르고

      2금융권의 예금이자 등은 이보다 조금 더 오른다고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