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대범한애벌래285
대범한애벌래285

우리나라는 물부족국가라고 들었는데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어릴때부터 환경포스터로 우리나라는 물부족국가라고

배워왔는데요

실제로 물부족을 못느끼겠던데

왜 그렇게 불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한국은 강수량이 상대적으로 풍부하지만 지형적 특성상 유역면적이 작고 국토의 63%가 산악지형으로 경사가 급해 많은 양의 비가 짧은 시간 동안 유출돼 물 관리가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강수량 가운데 땅으로 흡수되는 물을 제외하고 사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물이 홍수기(6~9월)에 집중되고, 갈수기인 겨울철과 봄철에는 유출량이 적어 안정적인 물 이용이 곤란하게 되어 물 부족 국가로 불리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평야가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비가 오거나 하는 경우에는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서 물을 끌어다가 농업에 할 수 있는 곳이 부족 했습니다. 그래서 물부족국가가 되었지만 실질적으로 조사 결과는 현재 물부족국가는 아니라고 하였습니다.

  • 반갑습니다. 대한민국이 물 부족 국가라는 인식은 지리적, 환경적 특성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의 강수량은 연평균 1300㎜로 세계 평균의 1.6배 수준입니다.

    강수량만 놓고 본다면 물이 부족한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좁은 국토 면적에 많은 인구가 살고 있어 상대적으로 수자원

    여건이 열악합니다. 또 비가 여름에만 집중적으로 내려 다른 기간에는 가뭄에 취약합니다. 산지도 많아 강수량 대부분이

    바다로 유출됩니다. 이런 여러가지 이유로 물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생겨났지만 물 부족 국가는 아닙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