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의 몇%를 주식투자하는게 좋을까요? 안전지향형 이에요.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월급의 몇% 정도를 주식에 투자를 하는것이
기본적인지가 궁금합니다.
안전한투자형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비율은 케이스바이케이스라 이게 대답이 될지모르지만, 우리나라의 최대 규모의 기관투자자는 국민연금이다. 세계적으로도 큰손 대접을 받는 투자기관이다.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의 공시자료에 따르면 채권, 주식, 대체투자의 비율이 대략 6대 3대 1의 비율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단순하게 배당만 받으시기 바랍니다. 현재 연11.78정도 되는 것이 월1프로정도 나옵니다
100만원이면 매달 1만원정도죠, 미니스탁, 커버드콜 100 etf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정지향형이라고 하면 5% 미만으로 가져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 이유는 일단 주식을 매수하면 하락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안전지향형인 사람이 너무 많은
비중을 넣게 되면 투자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종원 경제전문가입니다.
성향이 안전지향형이시면 주식투자는 월급에 10%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식 투자로 원금손실이 일어났을 때 직장일이나 다른 일이 손에 안잡힐 수 있기 때문에 손실이 나도 괜찮은 정도의 투자만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전한 투자를 원한다면 월급의 10%~ 20% 정도를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좋아요. 나머지 돈은 저축하거나 다른 안전한 투자에 사용하는 게 중요해요. 이렇게 하면 위험을 줄이면서도 돈을 불릴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전지햐형이시라면 배당주나 시장지수에 투자하는게 맞으실거 같네요. 그리고 정해진건 없지만, 월급의 50%를 저축한다 치면 여기 50%에서 절반 이하를 주식투자하시는게 맞지 않을까 싶네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전지향형 투자자라면 일반적으로 주식 투자 비중을 낮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월급의 5-10% 정도를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안전하고 균형있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월급에 있어서 저축과 투자를 합산하여서 50% 정도는 하여야 한다고 봅니다.
또한 저축과 투자를 100으로 보았을 떄 안전지향형이라면 투자는 20~40% 정도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전한 투자를 원하여 연평균 감수할 수 있는 손실폭이 5%이하일 경우
주식편입비중은 2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지수형ETF의 연간 변동성이 30% 수준이므로 고점에 물려 최대손실을 볼 가능성을 기준으로 보유자산의 20%를 투자한다면 -6%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전지향형이라면 몇 % 보다는 모아둔 돈에서 일정 부분으로 시작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로, 300만원이라면 이 정도는 혹시 모를 상황에서 전부를 잃어도 괜찮아 정도의 마인드를 장착하고
투자하신다면 어느정도 리스크가 닥쳐도 이겨내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식 투자에 있어서 안전이라는 개념은 상대적인 개념이 될 거 같습니다.
투자자의 개인적인 상황, 리스크 수용 가능성, 투자 목표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주식 투자 비율은 월급의 5~15%정도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월급의 몇 펴센트를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투자자 본인이 안전지향형이시라면 저라면
자신의 월 소득에서 약 10퍼센트 내외로만 주식 투자를 해보겠습니다.
정해진 룰은 없지만 나이가 젊을수록 위험한 자산에 투자를 하는것이 좋다는 의미로
100에서 나이를 뺀만큼의 비중을 투자하라고 하는 말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30살이시면 소득에서 지출할것 지출하시고
남은 돈의 70프로를 투자 30프로를 안전한 예금등 저축하는 식입니다.
주식이라고해서 다 위험한것이 아니고
주식도 많이 위험한것, 상대적으로 안정적인것 다양하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전지향형 투자는 사실 예적금만 하시기도 하지만, 주식에 투자하면서 안전성을 지향하신다면 가용할 수 있는 자산의 10% 이내만 투자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의 몇 %를 주식에 투자할지는 개인의 금융 상황과 투자 목표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투자를 원한다면 월급의 5%에서 10% 정도를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이는 금융 계획에 맞춰 투자 리스크를 분산하고 장기적인 투자 성과를 기대하기 위한 안전한 방법입니다. 투자 전문가의 조언과 개인의 리스크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한 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안전지향형이시면 월급의 일정 부분을 주식 투자에 할애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시장 자체의 변동성이 크고 하락장에서는 긴 호흡을 가지고 우량주를 분할 매수하여 보유하는 것 외에는 시장을 이기는 방법이 마땅찮습니다. 쉬는 것도 투자인지라 금리 인하와 경기 상승이라는 명확한 시그널이 오기 전까지는 올해 3분기 정도까지는 관망하실 것을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