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오늘배움
오늘배움

금리가 낮아질 때 채권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금리가 낮아지면 채권 가격이 상승한다고 하는데요.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 가격 변화의 원리를 알려주십시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원금이 10만 원이며, 이자율이 연 4%인 1년 만기 채권 매수 시에 1년 뒤에는 10만 4천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리가 2%대로 낮아지게 된다면 사람들이 기존에 발행된 4%짜리 채권을 사려고 하기 때문에 4%짜리 채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낮아질 때 채권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는 채권의 고정된 이자 수익과 관련이 있습니다.

    채권의 고정 이자 수익:

    채권은 특정 기간 동안 고정된 이자율(쿠폰 금리)을 지급합니다.

    예를 들어, 채권의 쿠폰 금리가 연 5%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금리 변화의 영향:

    금리가 낮아지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은 더 낮은 이자율을 제공하게 됩니다.

    만약 시장 금리가 3%로 떨어지면, 신규 채권은 3%의 이자를 지급하겠지만, 기존의 5%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은 여전히 같은 금리를 지급합니다.

    기존 채권의 매력도 상승:

    기존 채권이 5%의 쿠폰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 시장 금리가 3%로 떨어지면 기존 채권이 더 매력적이 됩니다.

    새로운 채권보다 더 높은 이자 수익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가격 조정:

    따라서 기존 채권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존 채권의 가격이 상승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채권의 금리와 가격은 항상 반대로 움직인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 우리가 투자하는 대부분의 자산은 만기가 없고 만기시 금액도 알수가 없습니다

    • 하지만 채권은 만기시 내가 얼마를 받는지 이미 정해진 상품입니다.

    • 이 상품을 거래하며 수요가 많아지면 가격이 상승하며 금리가하락하고 공급이 많아지면

      가격이싸지고 금리가 상승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초초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1년만기 할인채 이율 5프로짜리 를 천만원어치 산다면 지금 950만원주고 사서 만기에 1000만원을 받죠 그럼 4프로짜리를 사면 960만원주고 만기에 천만원 받는겁니다 금리가 내려가니 가격은 올라갔네요

    간단하게 이렇게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낮아질 때 채권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는 기존 채권의 고정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매력적이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이자율이 낮아지므로, 기존에 높은 이자율을 제공하는 채권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높아집니다. 투자자들은 더 높은 이자 수익을 제공하는 기존 채권을 선호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존 채권의 수요가 증가하여 가격이 상승합니다. 반대로, 금리가 상승하면 기존 채권의 상대적 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가 낮아질 때에 채권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먼저 기준 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새롭게 발행 채권의 금리가 인상되어 기존에 시장에 있던 발행된 채권의 거래 가격은 하락이 되지만

    반면 기준 금리가 내려가게 되면 신규 발행 채권의 금리가 내려가고 기존의 발행되어서 유통 중인 채권의 거래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나 국가가 채권을 발행할때 해당 채권은 표면이자율이 있으며 만기(3년물이라고하면 3년뒤)에 액면금액을 주겠다는 약속된 증권상품입니다. 즉 이 해당채권은 표면이자율이라는 이자율은 만기때까지 변하지 않으며 1년단위나 3개월 단위로 약속된 조건하에 지급되는 표면이자입니다.

    예를들어 만기 3년 액면금액 만원, 표면이자율 5% 1년단위 1번지급

    결론적으로 해당채권을 매수하게되면 1개월 단위로 표면이자 현금흐름이 발생하고 만기에 만원이라는 현금흐름이 발생하는것입니다. 이 채권의 현금흐름을 현시점에 얼마나 할인해서 매수하느냐가 수익률이며 이게 바로 시장금리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보통 금융권에서 얘기하는 시장금리는 장기금리로 이 장기금리의 대표 상품이 미국의 10년물 국가채권을 말합니다. 현재 3.8%정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게 시장금리이며 위에서 말했을때 3.8%만큼 미래의 현금흐름을 싸게 매입하게 하는구조인것입니다. 즉 이말은 시장금리가 5%로 올라간다고하면 위에서 발생되는 현금흐름 즉 매단위 표면이자와 만기에 받는 현금흐름을 더 5%의 할인율로 매입하는것이기 때문에 채원의 가격이 떨어지게 되는것입니다.

    이로 인하여 재무분석할때 시장금리를 수익률이라고하고 할인율이라고 하는이유가 이런 개념에서 등장한것이고 채권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채권의 구조에서 미래의 현금흐름이 어떻게 발생하고 이 현금흐름을 얼마나 할인해서 매수하는게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이 할인율 높으면 높을수록 ( 시장금리가 높을수록 ) 채권의 가격이 싸지는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채권을 더 싸게 매입할 수 있고 이말은 만기까지 보유하게 되면 그만큼의 수익률을 보장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 다만 해당채권이 기업의 파산으로 지급될 수 있다는 전제가 붙어야 합니다. )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낮아지는 시기에는 기존에 발행된 고금리의

    채권이 이점이 생기고 새롭게 발행되는 채권의 이자율은 낮기에

    기존 채권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