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너구리는 포유류에 속하는데 어떻게 알을 낳나요?
안녕하세요. 원래 포유류는 새끼를 낳는 생명체라고 알고 있는데 포유류에 속하는 오리너구리는 어떻게 알을 낳으며 외형이 일반적인 포유류와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오리너구리는 태성이 아닌 단공류라 불리는 원시적 포유류로, 알을 낳고 부화 뒤 젖을 분비해 새끼를 기른답니다.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의 초기 분파에 속하는 단공류에 속하기 때문에 알을 낳습니다. 단공류는 포유류의 일반적인 특징인 젖을 분비하여 새끼를 기르는 능력과 파충류의 특징인 알을 낳는 번식 방식을 모두 가지고 있어, 태반을 통해 새끼를 낳도록 진화한 대부분의 포유류와 달리 알을 통해 번식하는 원시적인 특징이 남아있습니다. 또한 오리너구리의 부리나 물갈퀴 같은 독특한 외형은 다른 포유류와는 다른 진화 경로를 거치며 수중 생활에 적응한 결과물입니다.
오리너구리가 알을 낳고, 외형도 일반적인 포유류와 다른 이유는 진화과정에서 일찍 갈려져 나간 단공류라는 매우 원시적인 포유류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대부분의 포유류는 태반을 통해 새끼를 낳는 태생이지만,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의 공통 조상이 가졌던 난생 번식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즉, 앞서 말씀드린대로 다른 포유류들과 일찍 분리되어 독자적인 진화 경로를 걸어왔기 때문에 알을 낳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네,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오리너구리는 분류학적으로는 분명히 포유류에 속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태생으로 새끼를 낳고, 젖을 먹이는 포유류와는 조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리너구리와 바늘두더지만 속하는 아주 원시적인 포유류 그룹을 '단공류'라고도 부르는데요 이들은 약 2억 년 전 포유류가 진화하던 초기 단계의 특징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알이 아닌 새끼를 낳는데요, 그러나 오리너구리는 난생의 방식을 택하며, 즉 알을 낳습니다. 다만 파충류나 조류처럼 단단한 석회질 껍질이 아니라, 가죽 같은 부드러운 껍질을 가진 알을 낳으며 알 속에서 일정 기간 배아가 발달한 후, 어미가 따뜻하게 품어주면서 부화합니다.
또한 오리너구리는 외형에서 파충류, 조류, 포유류의 특징이 섞여 있는데요 오리처럼 넓고 납작한 부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 부리는 전기 수용기를 포함해 물속 먹이를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물갈퀴가 달린 발로 수중 생활에 적응했으며 포유류처럼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지만, 다른 포유류에 비해 체온이 낮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