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일어나니 또미장이 떨어졋는데요?
요즘 미국시장은 기본 2퍼 3퍼는애교이고 5퍼 이리빠지니 참 황당하네요 거기다 달러도 내려가니 수익률이참담합니다
절대팔지는안겟지만 걱정되는 앞으로의추이는어찌될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장이 떨어진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미국의 대통령이 미국연방준비의원장인 파월의 자리를 흔들어대고 있어서
미국 증시가 다시 하락하게 된 것으로 보입니다.
아쉽게도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내 이럴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일 저번주부터 파월의장과 기준금리로 인해서 첨예하게 갈등이 있었고 금일도 이런 갈등이 격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미국의 실물경제 우려가 더 커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연준 통화정책의 방향 불확실성이 커졌으며 간밤에 여전히 달러인덱스는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다보니 금일도 미국 나스닥은 급락을 하였습니다 아마 이런 불확실은 상반기내내 지속될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지금은 보수적인 스탠스를 유지하시고 반등이 비중 축소와 하반기 관세정책은 거의 마무리되고 내수부양정책으로 회귀하는 스탠스가 보일때 적극매수로 방향을 하셔야 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계속되면서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며,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의장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연준의 독립성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에 시장이 크게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미래는 아무도 알 수 없지만 현재 미국대통령 트럼프가 관세부과를 통해 자국에 제조업을 유치하는데 힘쓰고 있고 주식시장은 그다지 신경쓰고 있지 않는것 같습니다. 2026년 11월에 미국 중간선거가 있기 때문에 트럼프가 늦어도 2026년 5월부터는 주가 부양에 신경을 쓸 것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예상보다 끈적한 인플레이션 지표들이 발표되면서 연준의 고금이 정책이 장기화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 증가와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습니다. 현재 시장 상황은 매우 불확실하며 단기적인 추가 하락 가능서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을 유지하고, 투자 원칙을 지켜나가면서 시장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걱정하시기보다는 냉철하게 상황을 판단하고 장기적인 투자 계획을 꾸준히 실행해나가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현금 여력이 있다면, 시장이 추가적으로 하락할 때 분할 매수를 통해 투자 비중을 늘리는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라고 생각하시고 오래 보유하면 다시 회복은 하겠지만, 그 기간이 꽤 오래걸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한 발 물러나거나 경기부양 이슈가 생겨야 가능할 것이라 전망합니다.(최소한 올해 하반기는 돼야 변화가 나타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주식투자 십수년 했지만 장기투자 관점으로 접근 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미증시 추종 etf 꽤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증시 격언이 공포에 사서 환희에 팔라는 말입니다
원래 주식이라는게 좋은 회사 증시 안좋을때 사서 증시 좋을때 파는게 수익률은 좋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요즘 미국 증시는 팔때보다는 여유자금으로 살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급한 돈 아니면 결국 버텨서 오를때 팔면 돈이 되는거죠!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어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미연준 의장을 저격하면서 시장이 요동쳤습니다.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과 같은 미연준은 주로 금융 관련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금리 결정이 대표적입니다.
트럼프는 금리를 낮춰서 미달러 가치를 지속 떨어뜨리기를 원하는데 연준은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어서 미온적인 태도입니다. 이에 트럼프가 파월 연준 의장을 압박하면서 시장이 불안해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정부의 간섭은 이례적이고 시장도 반응을 했기 때문에 트럼프가 무리 하여 연준 의장을 몰아 내는 극단적인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