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넉넉한기린210
넉넉한기린210

지수기준년과 지역금융협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경제금융 용어중에 지수기준년이란? 무엇을 말하는건지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그리고 지역금융협정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수기준년은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변경되는 기준년도를 의미합니다. 지역금융협정은 지역사회의 경제 활성화와 주민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설립된 금융 기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수기준년(base year)이란 경제지표인 물가지수, 생산지수 등을 작성할 때 기준이 되는 해를 말합니다. 보통 특정 연도의 지수를 100으로 하여 그 이후 해마다의 변동을 상대적으로 비교, 추적하기 위해 설정합니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의 지수기준년은 2015년입니다. 2015년의 지수를 바탕으로 매년 물가 변동률을 계산하고 있는 것입니다.

      지역금융협정은 일정 권역 안의 나라들 간에 자본거래와 지급결제를 더욱 자유롭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협정을 말합니다. ASEAN+3 지역의 지역금융협력체제가 대표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수기준년(reference year)은 물량지수=100 또는 명목금액과 실질금액이 동일한 연도를 의미하며 지역금융협정은 특정 지역 내 금융기관들의 상호 협력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협정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수기준년이란 지수를 측정함에 있어 비교의 대상이 되는 기준 년도를 의미합니다.

      지역금융협정이란 지방경제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지원 기관이 협력하여 만들어진 재정 지원 프로그램으로, 소상공인, 중소기업, 농어민 등 지역경제를 지원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금융기관 사이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수기준년이라고 하는 것은 물량지수=100 혹은 명목금액과 실질금액이 동일한 연도를 말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수기준년은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한 지수의 값을 100으로 설정한 연도를 말합니다. 주로 경제 지표나 주가지수 등에서 사용되며, 해당 연도를 기준으로 다른 연도의 지수를 비교하여 상승 또는 하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역금융협정은 지역 사회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지역 내에서 금융 기관들이 협력하여 지원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지역 사회의 경제 활성화와 지역 주민들의 금융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 금융 기관들이 협력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대출을 지원하는 등의 활동을 펼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지수기준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수기준년도란 비교 시점의 물가지수는 기준 시점을 100으로 흔하게 놓는데

      이때 지수를 100으로 보는 해를 지수기준년 혹은 지수기준연도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