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차량에 대한 EU의 관세부과시 우리차 시장전망은.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중국차량판매에 대해서 EU에서 관세를 메긴다고하는데요
한.EU FTA협정으로 우리는 무관세인데
호재인가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유럽연합에서는 중국 정부의 불공정 보조금 지급조치로 중국산 전기차량에 최대 48.1%까지 관세를 부과할 계획임을 중국과 대상업체에 통보했다고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상대적으로 한국산 차량의 가격경쟁력이 제고되어 호재일 것으로 보이지만, 여러가지 상황을 지켜봐야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EU FTA 협정으로 인해 한국은 EU에서 수입하는 일부 제품에 대해 무관세 혜택을 받고 있지만,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는 현재로서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EU는 2024년 7월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을 결정했으며, 이는 중국산 전기차의 유럽시장 진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세 부과는 특정 산업군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전반적인 경제 상황과 정치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중국차량판매에 대한 관세 부과가 한국의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앞으로의 상황 변화를 주시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 자동차 업체들도 기술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정부에서도 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서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우리나라 자동차의 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분석이 있지만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호재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기차 등에 EU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한국산 전기차 가격경쟁력이 EU 내에서 강화될 것이며 한국 기업의 수출이 증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다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EU와 중국의 무역 갈등이 계속 심화되는 경우 자동차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끼치고 세계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고 계속해서 여러 국가들이 보호주의 정책을 펼칠 수록 세계 자동차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현재 중국은 현대, 기아 전기차와 경쟁차종을 공격적인 가격으로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세부과로 실제 판매가가 유사해지는 경우 한국차가 더 수요가 많기에 호재라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서만 상계관세를 기존 10% 관세에서 추가로 부과하기로 발표하였으며 다음달 초부터 시행됩니다. 아무래도 중국산 전기차에 대해서 관세율이 대폭 상승하는 관계로 우리나라 기업 입장에서는 나름 호재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물론 말씀하신대로 이미 한-EU FTA를 통해 협정세율로 관세를 전액 면제받고 있지만 경쟁상대 측에서 가격 경쟁력에 불리해지는 부분이므로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면 국익에 도움이 될것으로 보여지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100%로 인상한 데 이어 eu도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였습니다. eu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반보조금 조사 잠정 결론을 토대로 기존 관세 10%에 더해 최대 38.1%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관세 부과 조치는 중국산 전기차의 수입량을 줄이고 eu 내 생산량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eu 내 전기차 가격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럽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중국 시장에서의 점유율 하락과 중국의 보복 조치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eu와 fta 협정을 맺고 있어 무관세로 수출이 가능하므로 이번 eu의 중국산 전기차 관세 부과 조치가 한국의 전기차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보복 조치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