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살짝쿵편안한소라게
살짝쿵편안한소라게

한계수입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풀어주세요!

한계수입, marginal revenue은 생산자가 물건 한단위를 추가로 판매할때 추가적으로 생기는 수입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 문제를 풀때, 어떤 판단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A라는 기업이 원래 2000원이었던 물건을 1500원으로 할인하여 세일을 할때, 이 기업의 한계수입은?

  1. 모른다 2. 1500원

일단 1. 모른다가 정답일수도 있을거같은데, 왜냐면 물건이 팔릴지, 하나도 안팔릴지 모르기 때문 -> 이 풀이는 맞을까요?

만약

할인하여 세일을 -> 세일을 하니 최소한 1개이상은 팔린다라고 '가정'을 한다고 하면,

몇개가 팔리던 판매개수와 상관없이, 1개가 팔릴때마다 수입은 1500원씩 잡히니, 한계수익은 1500원이라고 봐도 될까요?

만약 세일을 한다는걸 최소한 1개이상 팔린다고 생각하는 가정이 타당하다고 치면,

한계수익을 1500원으로 볼수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계 수입(Marginal Revenues)는 한계 비용(Marginal Cost)와 같이 보셔야 이해가 쉽습니다.

    미시경제학에서 한계 수입과 한계 비용이 같을 때 수익이 최적화 된다고 합니다.

    위에 말씀하신 가격에는 비용도 포함되어 있어서 수익(또는 이익) 측면에서 보려면 어느 정도 이익율을 가격별로 품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한계 비용까지 계산을 하면 최적 생산과 가격인지 파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단위당 가격의 제품이 판매량도 중요하지만 이익율, 원가율도 한계수익 측정 시 필요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