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에 금리가 오르고 연준에서 고강도 긴축을 진행한다고합니다. 고강도 긴축이란 무엇이며 금리가 계속 올라가는 이유가 무엇인자요?--
뉴욕증시는 20일(현지시간) 하락했다고 하며, 다만 10년물 국채금리가 2008년 이후 최고치를 다시 갈아치우면서 투자심리가 악화했다. 10년물 미 국채금리는 이날 장중 4.23%까지 올라 2008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2년물 국채금리도 4.62%까지 올라 2007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고강도 긴축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에 국채 금리가 오름세를 유지했다는 분석이다.
뉴스에 금리가 오르고 연준에서 고강도 긴축을 진행한다고합니다. 여기서 고강도 긴축이란 무엇이며 금리가 계속 올라가는 이유가 무엇인자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강도 긴축정책으로 미국은 세 번째 자이언트스텝을 단행했습니다. 이러한 고강도 긴축 여파로 달러화 강세 현상과 더불어 글로벌 경제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의 필요성까지 강조하고 있습니다.
미 연준은 지난 21일 기준금리를 0.75%P 인상했습니다. 지난 6월과 7월에 이은 세 번째 자이언트스텝입니다. 이러한 과정이 고강도 긴축입니다. 그 결과 미국 기준금리는 2008년 이후 14년여 만에 가장 높은 3.00%~3.25% 범위로 상향됐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고강도 긴축에 대한 개념은 금리인상이나 대차대조표 축소(양적긴축)등이 있습니다.
현재 치솟는 물가를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금리인상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결국 이는 투심의 악화나 채권금리 등과도 연관이 있는 것입니다.
물가가 잡히고 있는 유효한 수치가 나타나지 않는 이상 당분간 금리인상에 대한 이슈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고강도 긴축은 통화량을 줄인다는것으로 지금의 경우 금리인상을 말합니다.인플레이션 목표치 달성을 위한 고강고 금리인상을 한다는것이죠
안녕하세요. 이돈석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연준의 고강도 긴축 정책 중 하나를 금리 인상으로 보시면 됩니다.
즉,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금리 인상 등의 정책을 통해 회수하는 과정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시중에 풀린 유동성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다 보니 유동성 회수하기 위해서
고강도 긴축 정책을 시행해야 하는데요.
금리 인상을 통해서 시중 유동성을 회수하고 있습니다.
그렇다 보니 연준에서 금리를 계속 인상하고 있고, 한국은행도 외국계 자본 유출을 막기 위해서
금리를 계속 인상하고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강도 긴축이란 강도높고 속도감있게 경제활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경기의 과열을 방지하려고 하는 정책을 뜻하며 여기에 금리인상이 포함되는 것입니다.
현재 미국 내 물가상승률이 대폭 증가하였고 물가상승률이 완화되지 않아
계속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 재정 정책은 확대 또는 축소(=긴축) 정책으로 크게 나뉩니다.
축소 정책은 시중의 유동성(=돈)을 흡수하여 시중에 돈의 회전을 줄이는 정책으로 국공채 매입, 금리 인상 등이 대표적입니다.
긴축 정책을 시행하는 이유는 다양한데 근래 사유는 고물가를 잡기 위함입니다. 미연준의 경우 8% 내외의 높은 물가를 제어 하기 위해 금리를 올초 0.25%에서 지난 9월 21일 기준 3.25%까지 급격히 인상했습니다. 금리를 올리게 되면 상품과 재화의 가격 결정 시 수요 측면을 우선 자극하게 됩니다.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 비용 증가와 대출 감소 등으로 소비에 필요한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수요가 줄어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유도합니다. 기업 입장에서도 자금 조달 금리와 기존 대출 금리 인상으로 금융 비용이 증가하여 투자를 줄이게 됩니다. 줄어든 투자는 일자리 추가 창출을 제한하여 경제 전체의 소비 여력을 줄어들게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긴축은 경기 침체를 수반할 수 있어 너무 고강도로 진행하게 되면 경제 자체가 위축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