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클론 항체는 어떠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바이오의약품으로 자주 사용되는 단일클론 항체는 어떠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항암치료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것과 같이 단일클론 항체는 특정한 항원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것으로, 현대 바이오의약품 연구와 항암치료의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단일클론 항체는 기본적으로 한 종류의 B세포가 생산하는 항체만 증식시켜 얻는데요, 가장 전통적이면서 현재까지도 널리 활용되는 방식은 하이브리도마 기술입니다. 우선 실험용 쥐에 암세포 표면 단백질과 같은 특정 단백질을 항원으로 주입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데요, 이때 쥐의 비장에서 해당 항원을 인식하는 B세포가 활성화됩니다. 이후 비장에서 채취한 B세포를 종양성 세포와 융합시키는데, 이렇게 하면 항체를 생산하면서도 무한히 분열할 수 있는 하이브리도마 세포가 만들어집니다. 이후 하이브리도마 세포 중에서 원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만 선별하여 단일 클론으로 배양하는데요, 선택된 하이브리도마 클론을 세포배양 시스템에서 대량으로 배양하여 단일클론 항체를 얻습니다.
이렇게 생성한 단일클론 항체는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하거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데요, 우선 암세포 표면의 특정 단백질인 HER2, EGFR에 결합하여 암세포의 성장 신호를 차단할 수 있으며 예시로는 트라스투주맙이라고 하는 HER2 양성 유방암 치료제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단일클론 항체는 특정 항원에만 반응하는 항체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됩니다. 이 기술은 항원을 주입한 동물의 비장에서 항체 생성 세포를 분리하고, 이를 무한 증식이 가능한 골수종 세포와 융합하여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하이브리도마 세포 중에서 원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만을 선별하여 배양하면, 하나의 항원 결정기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항암치료에서는 암세포 표면의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항체가 암세포에 결합함으로써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거나 암세포의 성장 신호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단일클론 항체는 특정 항원을 주입한 뒤 b 세포를 골수종 세포와 융합해 하이브리도마를 만들고, 여기서 원하는 항체를 대량생성하는 방법이 있답니다.
단일클론 항체는 말씀하신대로 특정 항원에만 결합하는 항체로, 여러가지 기술이 있지만, 하이브리도마 기술로 주로 제작됩니다.
이 방식은 쥐에 항원을 주입해 항체 생산 B세포를 얻고, 이를 무한 증식하는 골수종 세포와 융합시켜 항체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항암치료에는 이러한 단일클론 항체를 여러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먼저 암세포 표면의 성장 신호 수용체에 결합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막습니다.
그리고 면역관문억제제로서 면역 세포의 기능을 방해하는 암세포의 회피 기전을 무력화해 면역 체계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만듭니다.
또한 강력한 항암 약물이나 독소를 항체에 결합시킨 항체-약물 접합체(ADC) 형태로, 약물을 암세포에만 정확히 전달하여 부작용을 줄이는 방식으로도 활용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