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넉넉한기린210
넉넉한기린210

지니계수와 지로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경제금융 용어중에 지니계수의 정의와 무엇을 뜻하는지 설명해주세요.그리고 지로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는 빈부격차와 계층간 소득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는지를 알려줍니다. 지니계수는 0부터 1까지의 수치로 표현되는데, 값이 ‘0’(완전평등)에 가까울수록 평등하고 ‘1’(완전불평등)에 근접할수록 불평등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지로는 일상적인 거래에서 발생하는 채권으로 채무의 결제나 각종 자금 이전을 지급인과 수취인이 직접 현금이나 수표를 주고받는 대신에 예금계좌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지급결제제도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는 빈부격차와 계층간 소득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는지를 알려준다. 지로는 공과금 및 기타 요금 납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든 결제 수단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란 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인 소득분배지표로, 0에서 1사이의 수치로 표시되며 소득분배가 완전평등한 경우가 0, 완전불평등한 경우가 1을 나타냅니다.

      지로란 공과금이나 기타 요금 납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만든 일종의 결제 수단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Gini Coefficient)는 소득 분배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고르게 분배되어 있다는 의미이고, 1에 가까울수록 소득 양극화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한민국의 지니계수는 OECD 국가들 중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소득분배의 불평등 정도가 큰 편입니다.

      지로(GIRO)는 은행 간 자금을 실시간으로 이체할 수 있는 전자지급결제시스템을 말합니다.

      지로를 통해 별도 수수료 없이도 24시간 언제든지 은행간 송금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라는 것은 하나의 국가 내에서 마이너스 소득인 가구가 없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여 산출하게 되는 지표로서, 지니계수는 0과 1사이에서 산출하게 되는데, 지니계수가 0에 가까우면 소득분배가 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며, 1에 가까우면 불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니계수는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표로, 0에서 1 사이의 값으로 표현됩니다. 0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고르게 분배되어 있고, 1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한쪽에 집중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지니계수가 0.4라면 상위 20%의 소득이 전체 소득의 40%를 차지한다는 의미입니다.

      지로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소득 불평등 지수로, 지니계수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지로는 0에서 1 사이의 값으로 표현되며, 0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고르게 분배되어 있고, 1에 가까울수록 소득이 한쪽에 집중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