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금 만기가 되면 모은 돈을 어떻게 다시 굴려야되나요?
사회 초년생입니다… 적금 들어본적이없어서 아예 이런쪽으로 몰라요. 이해되기 쉽게 설명 부탁드려요 ㅠㅠ
만약에 예를 들어, 매달 적금 200만원씩 넣어서 적금 만기가 돼서 5000만원이 모였다는 가정하에 입니다.만기가 돼서 5000만원을 한꺼번에 받아서 또 적금을 들기엔 200만원씩 적금에 넣어버리면 4800만원, 4600만원씩 달마다 돈이 너무 많이 놀고있잖아요.
돈이 놀고있는게 싫은데, 그러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적금 여러개를 한꺼번에 들어놓기엔…
적금 만기로 받은 5000만원을 다 다른 적금에 쪼개서 싹다 넣어버린경우 받는 월급만으로 적금 여러군데에 못넣을것같아서요.
보통 적금 만기되면 예금을 드나요?
예금이 정확히 뭔가요?
주식,투자,코인은 절대 안합니다…잃을까봐 무서워요. 저는 그냥 착실히 월급을 모으는게 더 잘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보통 적금이 만기가 되어 5천만원이 모인다고 가정하면 그 돈을 예금에 넣어 놓습니다. 원금 손실을 두려워하는 글쓴이님에겐 가장 적합한 상품이 바로 예금입니다. 예금은 적금과 달리 한번에 큰 목돈을 넣어놓고 일정기간(1년, 2년 등) 예치해서 이자를 받는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적금이 만기되면 목돈이 생기기 때문에 이러한 목돈은 예금으로 별도 보관을 하고 새롭게 적금을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 목돈을 가지고 다시 적금을 운용하면 상대적으로 아쉬운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이는 전액을 예금으로 예치하는 것이 더 높은 이자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적금 만기되면 예금을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적금으로 모은 목돈을 안정적으로 보관하면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기때문입니다. 특히 단기간에 목돈을 사용할 계획이 없거나 투자에 대한 위험 부담을 느끼시는 분들은 예금을 선호합니다.
예금은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 돈을 맡기는 행위를 말하는데요. 맡겨진 돈은 금융기관이 보관하고, 일정기간이 지나면 약속된 이자를 지급합니다.
예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예금자 1인당 원금과 이자를 합하여 최고 5천만원까지 보호해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적금 만기시 돈을 어떻게 굴려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적금이 만기가 된다면 그 돈을 토대로
예금을 하시면 됩니다.
예금이 이자 액수가 더 좋기 때문입니다.
다른 투자를 안하신다면 목돈은 보통 예금을 드는게 정석입니다.
다만, 금리가 높은 특판 적금 같은게 있다면 그런 적금 정도는 들어줘도 좋습니다.
일부는 적금을 나눠서 기간을 다르게 해서 드는것도 방법입니다.
매월 200만원 적금이 가능하다면 적금을 50만원씩 4개 정도로 나눠서 들어도 좋습니다.
그외에는 채권 같은 상품도 고려해해볼만 합니다.
채권은 예금보다 금리가 높으면서도 국채나 신용도 좋은 회사채는 원금 손실이 그 나라나 회사가 망하지 않는 이상 손실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목돈을 만드는 것에는 적금상품이 주요하고 목돈을 굴리는 것에는 예금상품이 좋습니다
즉 해당 5천만원은 예금상품으로 묶어두면 1년동안 약정된 은행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요즘 예금 금리는 약 3% 초반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