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7

카메라는 어떻게 저 멀리까지 찍을 수 있는건가요?

핸드폰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같은 것들은 확대를 저 멀리까지 해서 사람이 눈으로 직접 볼 수 없는 곳도 화질이 좋게 찍을 수가 있는데 어떤 원리로 그게 가능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2.12.07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카메라 렌즈 기술이 발달해서 그렇습니다

    예전에는 줌이 얼마 안됬지만 요즘엔 기술 발달로 100배줌도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볼록렌즈는 멀리서오는 빛을 한점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볼록렌즈 두개를 겹치게되면 멀리있는 물체의 모습을 가까이서 선명하게 볼 수 있는데, 이 원리는 망원경의 원리와 동일합니다.


    즉, 렌즈의 굴절을 통해 먼 물체를 가까이서 볼 수 있게되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망원경의 원리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광학줌의 경우 렌즈의 배열을 바꾸어 초점거리를 변경하여 화각을 변화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려서 굴절과 반사를 이용한것입니다.

    렌즈로 굴절시킨 상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서 보는것이고 반사경의 경우 반사시킨 빛을 접안렌즈로 굴절 확대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물이 반사된 가시광선이 렌즈를 통해 들어오면 카메라 내의 조리개와 셔터에 의해서 빛의 양이 조절되고 렌즈의 두께등과 거리등을 조절하여 카메라를 작동하는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광학줌의 원리는 광학줌은 렌즈의 배열을 바꾸어 초점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화각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배열을 바꾸면 사진이 옆으로 시원하게 나오게끔 하거나 그 반대로 멀리 있는 피사체를 가까이 끌어당겨 촬영할 수 있는 것 입니다


    광학줌은 망원경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망원경에 카메라를 부착한 모델이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줌을 엄청나게 끌어당길 수는 있겠지만 가격이 비싸지고 크기가 커지니 적당하게 가장 실용적인 화각의 범위를 지원하는 줌을 만들어 출시하는것 입니다


    광학줌은 렌즈를 이용하여 화각을 변화를 주는 것을 말합니다. 즉 렌즈가 앞뒤로 이동을 하면서 피사체를 확대(더 정확히는 화각을 좁히고, 넓히는 것)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줌이라 함음 렌즈로서가 아니고 디지털 적인 방식으로 화면을 확대시키는 것입니다. 쉽게 말씀드려 사진을 컴퓨터 상에서 볼때 확대, 축소를 할 수 있죠? 디지털 줌은 단지 사진을 확대해서 보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확대해서 보면 아무래도 질이 떨어져 보이기 마련입니다. 그렇기때문에 디지털 줌은 광학줌보다 화질이 떨어지게 됩니다.


    일반 필름카메라에서 디지털 줌이 적용 안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디지털 적은 방식으로 화면을 단지 크롭해서 확대하기때문에 필름카메라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디지털줌 배율은 기종마다 천차만별입니다. 몇만배까지도 가능하지만 몇만배 확대했을땐 화질이 아주 나쁩니다. 10배정도 확대해도 화질을 장담하기 힘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