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Dibideb
Dibideb22.08.20

코로나 감염 및 잠복기 관련문의합니다.

나이
35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현재 남편이 코로나로 격리(1주일)을 마치고 집에 왔습니다.

저와 저의 아이는 감염되지 않았구요..

같이 살고있는데 혹시 확진 1주일이 지나도

전염을 시키기도 하나요!?

더불어 잠복기는 얼마나 되나요!? 일주일이 넘어 증상이 나오기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보통 4-5일, 길게는 14일까지 가능합니다. 하지만 오미크론변이의 경우 이보다 짧은 1-2일이 많다고 알려져 있으며 잠재기 (latent period : 잠복비감염기라고도 하며 감염 후 증상 발현 전까지 기간으로 잠복기와 혼용해서 쓰기도 합니다.)에는 바이러스 전파력이 없으나 잠복기와 잠재기 사이 무증상 감염시기에는 증상 없이 타인에게 전파력이 있어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2주까지는 경과를 지켜보면서 필요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코로나 19 감염 후 약 10일이 지나면 바이러스 배출과 전파력은 급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약 5일간 배출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연구되어 몇몇 국가에서는 격리기간을 더 단축중입니다.) 하지만 그 이후로도 바이러스는 배출될 수 있으며 전파력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사멸된 바이러스로 인해 검사상 양성으로 확인될 수도 있기에 확진 후 재검사를 시행할 필요는 없으나 드물게 전파력이 남아 있을 수 있어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현재 격리기간 단축은 오미크론 변이의 낮은 중증진행 가능성, 높은 백신 접종률, 감염자의 폭증으로 역학 조사의 어려움과 자가 격리시 경제에 끼칠 파장을 고려한 전 세계적인 흐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격리해제가 완치를 의미하거나 전염력이 0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일주일이 지나더라도 전염력이 있는 바이러스가 검출될수 있습니다.

    잠복기는 보통 2~3일 가량입니다.


  • 1. 현재 우세종인 오미크론 및 켄타우로스 변이는 감염 후 5일이 경과되면 전염력이 많이 사라지게 되며, 7일 정도 경과 하면 사실 상 전파력이 없다고 통계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7일간 격리를 하고 나면 거의 전파력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일상 생활에 복귀하여도 됩니다. 하지만 낮은 확률로 전염력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3일간은 마스크를 착용하여 주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은 여느 감염성 질환과 마찬가지로 감염 이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기가 존재합니다. 짧게는 이틀부터 길면 14일까지 잠복기가 지속될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는 약 4-5일 정도가 잠복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잠복기의 경우 1-14일 까지 다양하게 나타날수 있으며, 자가격리가 끝나더라도 증상이 지속될시는 전염력이 있을수 있으므로 최소 14일간은 격리 또는 개인방역에 철저히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대다수의 경우 일주일이 지나면 전파 가능성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1주일을 격리기간으로 잡았지만 100%

    다 일주일만에 전파 가능성이 없어진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7일 이후 전파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생활에 필수인 출근등은 가능하나

    안전하게는 2~3일 정도는 더 다중이용시설 자제와 사적모임을 제한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증상도 7일 이후 더 지속될 수 있습니다.

    완전히 전파력이 '0'로 보는 시점은 20일 이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