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호화로운상괭이48
호화로운상괭이4821.12.14

백신 안맞으면 어디도 갈수없게 된 상황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백신 부작용이 걱정이 되서 주사를 아직까지 안맞고 있다가 지금 큰 낭패를 보고 있습니다 코로나 걸린적은 없구요 요줌 식당에서 밥 먹으려면 백신을 2차까지는 맞아야 한다더군요 어이없어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백신접종은 의무가 아니므로 정부에서 강제할 수는 없습니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의 확산을 저지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행하면서 백신접종자의 비율을 높이려고 했습니다. 백신접종자는 감염이 예방되고 위중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낮기때문입니다. 코로나19 감염이 취약한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기위해서는 백신접종증명서 또는 48시간만 이용가능한 PCR 음성결과서를 제시하면 됩니다. 개인적인 이유로 코로나19 예방백신을 접종하지 않는 사람은 PCR검사를 받으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점숙 심리상담사입니다.

    백신의 효능에 대한 논의가 있는 상태에서 미접종자에 대한 제한을 계속 하는 것은 사실상의 백신정좁강제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따뜻한청가뢰269입니다.

    다른 사람보다 날 위해서 맞는거니깐 지금이라도 언능 맞으세요..중증으로 가는걸 어느정도 막아준다고 하니깐요..제주변에도 안 맞은 지인이 있는데 그분 하고는 술한잔 하기도 그렇게 됐네요. 공짜니깐 빨리 맞는걸 권장드려요.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현재 감염자 대부분이 미접종자이기에 나온 방안같습니다

    현재 헬스장이나 노래방, 목욕탕 등에 가려면 백신 접종자의 경우 백신접종 증명서, PCR 음성 확인서나 예외 확인서가 필요합니다. 현재 백신 접종 완료 후 14일 경과하지 않았거나, 백신 미접종자의 경우 음성 확인서를 소지하지 않았다면 해당 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불비익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방역패스를 제시하는 방법은 백신이외에도 있습니다.

    1. 접종완료 증명: 접종완료 후 14일이 지난 이후부터 인정되며 질병관리청 쿠브(COOV) 앱이나 네이버, 카카오 에서 발급된 전자증명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를 사용하시기 어려운 경우에는 보건소에서 발급하는 종이증명서나 신분증에 부착하는 예방접종 스티커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 PCR 음성 확인서: 미접종자분께서는 PCR 검사를 받으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검사기관에서 발송한 2일 이내의 음성확인 문자 통지서를 제시하고 시설에 출입할 수 있습니다. 만약 문자를 받지 못한 경우에도 검사기관에서 발급하는 종이 음성확인 통지서로도 사용이 가능하십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백신 접종률이 2차 완료까지 80% 가까이 올라왔고 먹는 치료제 및 마시는 치료제 까지 개발중에 있으나

    현재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 까지 등장하여,

    더욱 심각한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는 양상으로 백신접종의 필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기는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거리두기를 해제하면서 적용되는 백신패스는 어쩔수 없습니다.

    거리두기를 풀면서 확진자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현재 백신 접종 후 시간이 지나면서 항체 농도가 낮아져 부스터샷을 시작했습니다.

    현재 고령, 의료진에게 부스터샷을 접종중입니다.

    면역저하자는 마지막 접종 후 2개월 뒤부터, 나머지 연령대는 3개월 뒤부터 접종이 가능합니다.

    부스터샷은 의무는 아니고 개인의 선택입니다.

    이상반응은 2차때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사회적 활동이 많은 분들은 맞는 것이 좋겠습니다. 새롭게 발표된바에 따르면 6개월마다 접종을 해야 백신패스를 적용받을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백신 접종이 중요하기는 한데 강제로 하는 것은 옳은 건 아닌듯 합니다. 문제는 그만큼 현재의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이지요. 부작용이 우려가 되는 것은 이해하나 본인 건강을 위해서도 가급적 자발적으로 접종을 하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