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금쪽같은참새190
금쪽같은참새19023.06.13

난 못해 못할거야 를 자주하는 6세 남자아이입니다

난 못해 못할거야 하면서 자기가 먼가를 하면서 잘안되거나 실패하면 좌절을 잘하고 아주 속상해합니다 어쩔수없이 옆에서 실수,실패 할수 있다라고 엄마도 그럴때 많다면서 용기를 북돋아주면 마지못해하는데요 해결하고도 기분이 썩나아지지않고 환기시켜줘야하더라고요ㅜ 어렵네요

어떤성향이라서 그런걸까요 내가 하는게 맞는길일까요 좀더 말해줄만한게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현재 아이에게 자존감이 부족한듯 보입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자존감을 높여줄려면 부몽의 태도가 중요합니다.

    원하는것이나 목표로 했던것을 주도적으로 해냈을때 자존감은 높아집니다.

    아이에게 성취라는 경험을 쌓게하는게 좋습니다.

    쉽고간단한 것부터 시작해서 스스로 해냈다는 자신감을 높여줘야합니다.

    부모는 아이가 완수할때까지 기다려주고 완수하면 칭찬도 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이 평소 잘했어와 같은 결과칭찬을 하지 않는지 점검해 보세요. 결과에 대한 칭찬을 받고 자란 아이는 결과에 집착을 하게 되고 과도한 승부욕이 생기거나 혹은 나쁜 결과기 나올까봐 아예 도전을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부모는 아이에게 항상 과정에 대한 칭찬을 하셔야 합니다. "잘했어"가 아니라 " 힘들었을텐데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노력하는 모습이 훌륭하구나" 와 같은 과정에 대한 칭찬을 끊임없이 해 주셔야 합니다. 그렇게 과정칭찬을 받고 자란 아이들은 도전에 대한 두려움이 없으며 실패를 해도 좌절하지 않으며 매사에 열심히 노력하는 아이로 성장하게 됩니다. 부모님의 잘못된 칭찬은 아이의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기억하시고 좌절하고 도전에 두려워하는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신감이나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의 경우 운동을 시켜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아이들은 각자의 성향이 있는데 운동을 시킬 경우 소극적인 아이들이

    자신의 몸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 자신감이나 자존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큰 아이들은 선뜻 새로운 시도를 하기 어려워하고 어떤 일을 함에 있어서도 잘 해내지 못할 것 같다는 두려움이 앞섭니다.

    이런 아이들은 작은 성공경험을 통해 자존감을 높여주어야 하는데요 아이의 실력보다 낮은 것부터 도전하게 하면서 작은 성공경험을 쌓아나가게 해주시고 성공했을 때에도 결과보다는 노력과 과정에 대해 칭찬해주세요.

    다음에 어떤 더 난이도 있는 과제를 수행할 때 사진이나 영상 등의 기록을 보여주면서 아이의 크고 작았던 성공경험을 상기시켜주세요. 그리고 노력하다보면 결국 성공하게 되고 포기하지 않는한 실패는 없다는 것을 일깨워주시면 아이가 자신감을 갖고 도전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덧붙여, 말은 생각을 지배할 정도로 큰 힘을 갖고 있으니 두려운 마음이 들지라도 '나는 할 수 있다.'라고 스스로 주문을 걸어보라고 하세요. 피그말리온 효과로 점점 자신을 긍정하게 될 것입니다.

    아이가 자신감있게 성장하기를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언가를 하기도 전에 난 못해, 못할거야 라고 하면서 좌절감을 느끼는 아이는

    적극적이 못하고 소심한 아이 입니다.

    이런 아이들에게 “넌 할 수 있어”,”충분히 해낼 수 있다니까” 라고 말을 하면서 억지로 떠밀어서 그 미션을 수행하게 해서는 안됩니다.

    제일 먼저 해주셔야 할 점은 부모님이 직접 시범을 보여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부모님이 한 미션이 무섭지 않고, 겁낼 일은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시면서 아이에게 이렇게 말해주세요.

    ”이것봐 무섭지 않는 거야, 처음 시도하는 것은 누구나 겁을 내고 무서워 할 수 있어, 그렇지만 해보지도 않고 포기하는 것은 어른으로 성장할 수 없어”라고 부드럽게 말을 해주세요.

    아이의 손을 잡고 같이 해주시거나, 함께 참여를 먼저 해주신 후, 그 후에 아이 스스로 해 볼 기회를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미션을 수행한다면 듬뿍 칭찬을 많이 해주도록 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3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좌절을 경험할 때 누군가 자신을 지원하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은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줍니다.

    그리고 도움을 기다리는 것은 곧 인내심을 기르는 과정이예요.

    자신감과 인내심은 아이가 새로운 도전을 하는 데 밑거름이 됩니다.

    그리고 실패를 받아들이는 것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첫 걸음입니다.

    "퍼즐이 너무 복잡해서 도저히 맞출 수가 없어"라고 아이가 좌절한다면

    우선 아이를 공감해 주세요. "그래, 퍼즐이 너무 복잡해보이는구나"

    그리고 아이 스스로 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좀 더 쉬운 퍼즐을 제안해본다든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든지 등의

    도움을 통해 아이 스스로 퍼즐을 끝까지 맞출 수 있도록 격려해 주시는게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용기를 주시기 바랍니다

    다 완성하지 못해도, 다 해내지 못해도 잘했다고 칭찬을 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평소에 부모님이 승부욕을 자극할 만한 말들은 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협동해서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하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존감이 낮은경우 스스로 활동에 대해서 부정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평소에 작은것 성공이 가능할만한것을 하도록한 후에 그것을 성공한 후 칭찬을 해주면서 할수있다는것을 만들어주시면

    도움이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6세 남자아이가 무엇인가를 너무 완벽하게 처리하려는

    완벽주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듯 하니 무엇이든지 편안하게 하도록 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올려 주시기 바랍니다.

    평소에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 주시고,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여 주세요.

    결과물 보다는 과정 하나 하나에 아낌 없는 칭찬과 격려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은 없고

    그런 사람은 오히려 이상한 사람이라고 알려주세요

    그리고 노력하는 사람이 아름다운 것이며 노력의

    가치에 대하여 알려주시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누구나 실수를 하고

    처음부터 잘할 수는 없으나

    그것을 이겨내고 도전하는 사람이

    멋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못할 거라는 말을 자주 한다면 아이의 행동에 대한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칭찬해주고 실수를 허용해주고 매일 아이에 대한 칭찬을 한 가지씩 해주어 자신감을 키워주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