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뽀로로
뽀로로23.09.11

실수하는 걸 두려워하는 아이에게 어떻게 반응하면 좋을까요?

아이가 실수를 하거나 원하는데로 무언가를 해내지 못했을 때 너무 짜증내고 울곤 합니다.

아직 5살밖에 안된 아이인데 왜이렇게 사소한 거에 속상해하고 용납을 못하는지, 너무 마음이 어렵네요.

그럴 때마다 그럴 수 있다고 토닥이고 다시 해보자고 이야기하지만 이런 상황이 자주 반복되면 저도 너무 힘들어서 같이 짜증내게 되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실수를 두려워하는 아이를 교육하기 위해 포용적인 환경과 긍정적인 피드백이 중요합니다.

    실패를 배움의 기회로 강조하고 부모가 실패와 실수를 어떻게 다루는지 보여주세요. 목표 설정과 계획 세우기를 통해 아이들은 실패를 극복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자아 수용과 자신감을 갖도록 하고 새로운 경험을 통해 성장하도록 도와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2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주가 되는 놀이를 통해 아이가 가지고 있는 강박관념의 틀을 벗어나게 해주는게 좋아요. 단기적이 아닌 장기적으로 아이와 많이 대화하고 생각을 읽어주고 안정감을 찾을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실수를 두려워 하는 경우 기질이 예민한 아이일 수 있습니다.

    기질이 예민한 경우 칭찬을 많이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실수라는 것을

    간접 경험하게 해주시나 아이 눈높이로 설명해주어 실수를 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정에서도 아기가 실수를 했다고 나무라거나, 크게 반응을 보여서는 안됩니다

    가볍게 그냥 넘기시고, 아이의 속상한 마음에 공감을 해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다른 재미있는 활동 등으로 관심사를 바꿔 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실수하는 것을 두려워 하는 건 아이의 자존감이 낮기 때문에 그럴 수 있답니다

    평소에 아이의 작은 일 하나 하나에도 아낌 없는 칭찬과 격려를 해주시면 자존감은 저절로 올라갑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실수를두려워하는아이의경우

    1.강압적인 훈육방식

    2.결과에대한칭찬이많음

    위의경우나타날수있으니 양육환경시체크해보셔도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실수를 하고 원하는 대로 무언가 되지 않는다고 짜증내고 운다면 단호하게 짜증을 내고 우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짜증을 내면서 울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세요.

    무언가가 되지 않을 때에는 도와주세요 라고 예쁜말로 도움을 요청해야 된다 라는 것을 알려주도록 하세요.

    또한 해보시고 않고 안된다고 포기하는 행동 역시도 옳지 않다 라는 것을 알려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의 행동이 개선될 때 까지 자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강박적인사고가 있으면 실수를 두려워하거나 겁낼수있습니다

    아이에게 조금더 유연한 사고를 할수있게 도와주시고 안정을 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백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성향에 따라 실수하는 것을 싫어하고 잘하고 싶어하는 마음이 클 수 있습니다.부모님도 실수한다는 것을 알려주시고 실수에서 새로운 것을 배우는 모습을 경험시켜 주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해주세요

    누구나 다 실수를 하면서 성장한다는 것을

    알려주셔야 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사람은 완벽하지 않고

    이에 따라서 실수를 한다고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누구나 다 실수를 하니 부담갖지 말라고해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단기적이 아닌 장기적으로 아이와 대화를 많이 하며 아이의 생각을 읽어주시고 안정감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것이 좋겠는데요

    평소 아이와 온 몸으로 놀아주시고 성취에 몰입하기 보다는 재미있게 노는 경험을 시켜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정서적으로 안정시켜주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실수를 두려워하고 불안해하는 마음을 이해해주시고 실수가 잘못이 아니라는 것도 알려주세요 마지막으로 자신감을 키워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존재임을 알려주시고 문제를 해결해주기보다는 힌트를 주며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시는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의 성취욕이 강해보이는것 같아요.

    지금하시는것 처럼 용기주며 다시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와 용기를 주시면 좋을꺼 같아요.

    아직 어리니 얼마든지 실폐와 실수를 이겨내고 더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아이로 성장할꺼라 생각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