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1.12.28

아이가 친구들하고 같이있음 못어울려요

어린이집에 가면 말도 잘안하고 친구들하고 어울려서 놀았으면 좋겠는데도 놀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집에서는 잘놀고 활발한데 친구들하고 만나면 놀지를 못하네요 어떻게 해야 아이가 잘놀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명확한 의사소통을 도와주세요
    일반적으로 친구들과 잘 어울리는 아이들은 자신의 의사를 잘 전달하고, 상대의 이야기를 잘 듣습니다. 상대가 나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하려 하는지, 무엇에 관심과 흥미가 있는지 쉽게 알아차리고 이에 맞게 대응합니다. 따라서 친구와 잘 어울리는 아이로 키우려면 ‘예’와 ‘아니요’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현재 자신의 상태나 욕구를 적절하게 표현해 상대가 자신을 예측할 수 있게끔 해야 합니다.

    둘, 스스로를 이해하고 자신감을 갖게 해주세요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입니다. 자신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자신감은 자신과 어울리는 친구를 찾는 데 도움을 주고, 친구에게 당당하게 자기표현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잘 해결되시길 기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인간은 모두 다 다른 인격과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 아이들도 마찬가지에요.

    적극적이며 활동적인 아이도 있는 반면에

    소극, 내성적인 아이도 있고요.

    전자가 되기를 모든 부모들은 바라지만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우리 아이의 성격과 행동을 존중해 주는 것이 가장 먼저이며,

    그. 가운데 차츰 사교성 등을 길러주는 방법을 천천히 가르텨 주세요.

    다양한 사람들을 자주 만나게 하는.방법을.통해서요

    예를.들자면 키즈카페나 문화센터, 가족 친지.분들을

    자주 활용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직 낯선환경이라은 인식이 있어 수줍어서 그럴 경우가 있습니다

    그나이때 아이들은 서로서로 잘 챙기기 때문에 추후에 친한친구를 사귄다면 금방해결 일이니 너무 걱정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아감이 약하면 친구들과 접촉하기를 꺼려하고,

    함께 어울리기를 힘들어합니다

    능동적으로 양육하는 부모의 아이들은 스스로 하려는 자립성이 강화되지만, 수동적으로 양육하는 경우에는 부모에게 의존도가 발달하므로 자아감이 약화됩니다
    물론 수동적인 아이에 대해 부모님은 걱정을 끼치지 않는 말 잘 듣는 아이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는 자아감의 약화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아이의 능동성을 살리는 일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수동적으로 양육하는 부모님들은 대개 일방적이거나 주입식으로 양육하는 자세를 취하게 됩니다
    가급적이면 어린이끼리 놀고 접촉하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경험과 실제의 기회를 많이 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렇게 해야 어린이들 스스로 친구들의 사회로 들어갈 수 있도록 훈련하는 효과를 거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