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놀이 이미지
놀이육아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2.07.09

다른 친구들에게 끌려다니는 아이 어떻게하죠

아이가 친구들하고 놀기를 좋아합니다. 그런데 놀때보면 친구들한테 끌려가며 노는것같아 속상하더라구요 친구드이 하자는대로만 하고 아이가 하자는대로 친구들이 따르진 않더라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자기의 마음 표현 등을 당당하게 할 수 있도록

    격려를 해주세요.

    아이의 자존감과 자신감을 키워주셔서 이러한 끌려다니는 것을

    줄여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신감과 자존감이 부족한 경우에 자기 주장을 내지 못하고 끌려다니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아이를 추켜세워주고 칭찬을 많이 해주셔서 자신감을 회복시켜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성취감을 높여주면 자신감도 올라간답니다

    작은 일에도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오버 하면서 기뻐해주세요.

    그러면 아이는 가정에서 엄마 아빠의 격려를 받으며 밖에서도 사랑받고 항상 자신감 넘치게 행동하며 스스럼 없이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자신감이 결여되있어서 보여질 수도 있는 모습입니다. 아이의 주도성을 키워주세요. 다양한 것을 스스로 해보고 직접 해보게 해주세요 예를들어 입고 싶은옷 고르기, 빨래널기, 식탁차리기 등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잇는 일을 직접하게 해주세요. 또 스스로 한일에 대한 칭찬을 지속적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심리상담사입니다.

    아이와함께 노는것을 연습해주세요

    어떻게말하고이끌어갈수있는지 부모가 먼저보여주면서 학습시키면 모델링을통해 배울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많이 속상하실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ㅇㅇ이 친구들은 왜 ㅇㅇ가 하자는대로 하지 않을까?? ㅇㅇ이는 친구들이랑 하고 싶은거 없어??

    라고 아이에게 질문을 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들끼리의 관계를 먼저 알아보시고 아이에게 해결책을 제시해주는 것이 순서가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면스러운 모습입니다. 너무 걱정하시지 않으셔도 됩니다. 친구간에 신뢰가 쌓이면 점점 발언권도 커지고 리더십도 생길 것입니다. 자기주장만 강하게 하다 갈등이 생기는 상황보다는 훨씬 좋네요. 다른 친구 얘기른 잘들어주니 앞으로 사교능력도 커지고 따돌림을 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하지 않을 확률도 높아질 것입니다.리더십이 강한 인물도 좋지만 공강능력이 큰 사회형 인물도 촉망받는 시대니까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자신감을 길러주세요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주고, 결과보다는 과정에 칭찬을 자주 해주시면 아이의 자존감은 저절로 올라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기질에 따라서 같이 어울리는 아이가 있는반면 리더하는 아이가 있을수있습니다

    관계에서 큰 문제가 없다면 걱정할것은 아닙니다.

    모든 아이가 아이들을 이끌고 놀이를 할수없기에

    자신의 성향에 맞추어서 이러한 부분을 스스로 발달하는게 중요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급하신 내용으로 보았을 때 아이가 자신감이 많이 부족해 보입니다. 싫으면 싫다고 표현해야하고 본인이 하고싶어하는 놀이가 있으면 자신있게 표현하며 친구에게도 같이 놀자고 제안도 할수 있어야 하지만 아이가 그렇게 하지를 못하고 있는 모습이긴합니다.

    물론 아이가 정말 친구들이 하는 놀이가 좋아서 그럴수도 있지만 아이에게도 자기 의견이 있을테니 안타까워보일수도 있습니다.

    아아스스로가 자신에 대한 자신감 즉 자부심이 넘치도록 정서를 적극적으로 함양해주세요

    한껏 함양되어진 자부심은 친구들과 놀이에서도 자신감을 이어져 주도적으로 놀이에 참여하게 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씨져의 심리학,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해당 내용에서 아이가 몇 살인지, 성별은 어떻게 되는지, 어떠한 상황에서 친구들과 노는 것인지 구체적이지 않아 정확하게 말씀드릴 수는 없으나 큰 관점에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9세 이하의 아이들은 본인이 정확하게 무엇을 원하는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 자체를 놀이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사춘기를 겪으면서 정체성, 자아, 양심 등을 학습하고 형성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부모의 역할이 중요함은 당연합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리더(Leader)가 될 필요도 없으며, 그렇게 되어서도 안됩니다.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누군가가 본인이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것이 겉으로는 훌륭해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에 따른 책임을 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역사적으로 우리나라 대통령을 보더라도 퇴임 후 책임을 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현재 일본 전 총리였던 분도 안타까운 일을 당하셨습니다.

    아이가 커가면서 본인의 자아와 정체성 등을 형성할 시간이 충분할 것이니

    다그쳐서도 안되며 자연스럽게 아이를 격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9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녀의 또래 관계에서 서로 불평등해 보이는 모습을 발견하면 양육자는 염려하게 되지요. 그러나 이 관계가 서로 필요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라면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어요. 예컨대, 주도하는 아동의 새로운 제안을 자녀가 즐겁고 편안하게 느낀다면, 친구 관계로는 큰 문제가 없는 거예요.

    우선 의사 표현을 할 때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를 물어주세요. 올바른 친구 관계를 만들려면 관계 안에서 자신을 인정해 주는 친구가 있어야 하고, 동시에 아동 자신도 그 또래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해요. 그리고 이것은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닙니다. 다양한 사회적 행동을 통해 어떻게 하면 긍정적인 관계를 만들 수 있는지 배워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