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남다른갈기쥐209
남다른갈기쥐20920.11.07

주식에 피봇에 대해 알고 싶어요?

주식거래 보조지표중 피봇에 대해 알고 싶어요

피봇 1차 저항 2차 저항

1차 지지2차 지지로 나오며

피봇선 기준으로 매수 매도를 하는데

활용법에 대해 궁금 합니다

피봇 선을 활용한 매수매도 기준을 어떻게 정하고

활용하는게 효과적인지 고수님들 설명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피봇 포인트 (Pivot Point)

    피봇분석은 전일의 고가, 저가, 종가를 평균하여 전일의 중심가격(Pivot Value)을 먼저 산출한 후
    지지와 저항의 가격대를 산출하여 하루의 평균적인 가격흐름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과거의 주가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확률적으로 이럴 가능성이 높다라는 개연성을 실지로 주식의 매매에 적용한다고 보면 되죠.

    피봇 계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계산식을 사용합니다.



    계산식

    전일의 고가 + 저가 + 종가

    피봇포인트(P)= -------------------------- = 전날의 가격 평균

    3


    1차저항 = 2 X P - 전일의 저가
    2차저항 = P + 전일의 고가 - 전일의 저가

    1차지지 = 2 X P - 전일의 고가
    2차지지 = P - 전일의 고가 + 전일의 저가

    분석방법

    - 피봇분석은 당일의 가격변동폭이 클수록 다음날 예상되는 지지선와 저항선의 폭은 넓게 나타나고
    당일 가격변동폭이 적을수록 다음날에 예상되는 지지선과 저항선의 폭은 좁게 나타나게 됩니다.

    - 피봇포인트 자체가 1차적인 지지선과 저항선이 되며
    (이유: 피봇포인트가 고가.저가.종가의 평균으로서 그날 하루의 평균적인 가격흐름을 나타내기 때문)
    1차와 2차의 지지 및 저항수준은 피봇포인트보다 그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합니다.

    - 익일의 주가가 피봇포인트 이상에서 움직인다면 시장이 강세라는 뜻이되며,
    익일의 주가가 피봇포인트 이하에서 움직인다면 시장이 약세라는 뜻이됩니다.

    일반적 매수. 매도 방법


    - 주가가 피봇 포인트를 상향돌파 할 경우 매수
    주가가 피봇 포인트를 하향돌파 할 경우 매도.
    하루 중에 처음 피봇 포인트를 돌파하는 주가의 움직임이 가장 중요합니다.


    - 피봇 포인트 근처에서 매수(매도)하였다면 1차 저항선(지지선)이 첫번째 목표수준이 됩니다.

    주가가 2차 저항선(지지선)을 돌파하여 상승(하락)하는 경우 새로운 매도(매수)점의 설정은 유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