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4.03.31

저축은행은 금리가 왜 더 높죠?

1금융권 은행에비해서 저축은행은 적금이나 예금 금리가 더 높은게 대부분이던데 똑같은 은행인데 왜 저축은행이 더 금리가 높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저축은행은 아무래도 일반 시중은행보다 사람들이 덜 신뢰하기 때문에 금리를 더 주지 않으면 사람들이 예금, 적금을 하려하지 않으므로 시중은행보다 금리를 더 높게 쳐줄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이 시중은행보다 위험성이 더 크기 떄문입니다. 저축은행은 자금 규모자체가 적기 떄문에 더 많은 금리를 주지 않으면 자금 유치가 힘들기 떄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 및 새마을금고, 단위협동조합은 시중은행에 비해 안전성이 떨어지므로 금리가 더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과 같은 경우 일반 1금융권에 비하여

    많은 대출 이자 등을 받으며 이에 더 높은

    수신금리를 줄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은 1금융권 시중은행이 아니라서 예금금리 대출금리다 높아여!!'ㅜㅜ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의 금리도 상품임으로 은행의 수요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통 저축은행은 일반은행보다 위험성때문에 수요가 적죠.

    같은 금리라면 당연히 저축은행에 예금을 안할 것 입니다.

    그러니 혜택을 더 주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함입니다.

    보통 착각하는 것이 기준금리가 은행금리이고 고정이라고 생각하시는데

    은행도 사기업이며 이윤을 추구하는 회사입니다.

    기준금리에서 +@를 하여 책정하는게 시중금리이며 이것도 지역마다 다르기에 잘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적으로 분석하면, 대출회수의 위험성이 큰 자에 대해 빌려주는 이자율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2금융권의 주요 고객은 중더심용자들입니다. 대출 금리가 높게 책정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2금융권은 높은 리스크의 대출자들이 많아 조달 금리가 1금융권보다 높습니다.

    즉, 2금융권 자체가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예적금과 대출이율이 높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저축은행의 경우에는 1금융권의 은행보다 영업의 범위가 좁아서 대출에 한정되어 있는데, 자금 조달의 범위가 협소하다 보니 대출을 할때 저신용자나 혹은 PF대출등 높은 수익을 중심으로 대출을 진행하여 그만큼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부실화 우려가 1금융권보다 높아서 이를 반영해 예금 금리를 높게 주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저축은행은 1금융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좀 더 자산과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일반 금융소비자들의 예적금을 받으려면 금리가 높아야 수요가 생깁니다

    • 때문에 1금융권 보다 금리가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저축은행은 규모가 작고 지역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저축은행은 예금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여 고객 유치를 위해 경쟁을 벌이기 때문에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저축은행의 금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제1금융권과 경쟁하기 위해서 제2금융권에 속한 금융기관들은

    고객들에게 어드벤티지를 주는 것이 바로 비교적 높은 예금 금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