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계림유사는 어떤 사료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 북송시대의 봉사고려국신서장관(奉使高麗國信書狀官)이던 손목(孫穆)이 1103년(고려 숙종 8년)에 서장관으로서 고려를 방문한 후 당시 자신이 고려에서 견문한 조정제도, 풍속 및 고려 방언 약 360여개 어휘를 채록하여 저술한 견문록이자 어휘집. 총 3권. 현재 홍콩대학 펑핑산도서관(馮平山圖書館)과 대만국립중앙도서관(臺灣國立中央圖書館)에 소장되어 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7
0
0
초현실주의에 해당하는 미술용어들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오브제는 초현실주의 미술에서 쓰는 용어인 것으로 알려졌다.오브제는 작품에 쓴 생활용품, 자연물, 예술과 무관한 물건을 기존의 용도와 달리 작품들에 사용하므로 써 새로운 느낌을 주는 조형물이다.특히 돌과 나뭇조각, 쇳조각 등에 모든 소재를 사용해 의외성을 이끌어내려고 하는 표현 방법이기도 하다.-출처:데일리안
학문 /
미술
23.05.27
0
0
다산 정약용 선생님이 갑작스럽게 강진으로 장기간 유배를 가시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00년 다산을 아끼고 사랑했던 임금인 조선 정조가 승하하고 그의 아들인 23대 조선 순조가 즉위하였을 때인 1년 후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가 일어나게 되고 서학(西學)으로 불리우는 천주학에 관심을 두고있는 다산에게도 영향을 주게되어서 유학파(儒學派) 보수 관료들로부터 모함의 대상이 되었으며 동년에 천주교 신자인 황사영이 서학에 관련된 백서(帛書) 사건에 가담한 것으로 알려져서 다산도 서학에 입문한 이유로 당시 보수 유학파 관료들로부터 모함을 받아 전라도 강진으로 유배를 갔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7
0
0
국어 문학에서 희곡과 시나리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희곡과 시나리오의 비교 희곡 시나리오<차이점> 창작 목적- 희곡: 공연(연극)을 목적으로 함 시나리오: 영화 상영을 목적으로 함등장인물의 제약- 희곡: 등장인물 수에 제약이 있음 시나리오: 등장인물 수에 제약이 없음차이점- 희곡: 시 공간의 제약이 있음시나리오: 시 · 공간의 제약이 없음출처:티스토리
학문 /
음악
23.05.27
0
0
이인직의 ‘혈의 누’라는 소설은 어떤 소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혈의 누》는 청일 전쟁의 와중에서 기족이 헤어진 7세의 옥련이 일본 소좌의도움으로 일본에서 소학교를 마치고 구완서와 함께 다시 미국으로 신문학을 섭취한 뒤 귀국하는 도정을 그린 작품으로, 자주의식의 각성과 신문학의 필요성을 주제로 삼고 있다.-출처:네이버 블로그
학문 /
역사
23.05.27
0
0
일본은 어떻게 해서 애니매이션의 강국이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존의 서양 애니메이션과 차별화된 스타일하지만 일본은 제작 비용과 제작 시간을 줄이기 위해 '리미티드 기법'을 창안하여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는 1초에 10장 이하의 그림으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으로 기존에 사용했던 장면을 재사용 함으로써 제작비 절감에 큰 도움을 주었던 방법입니다.-출처:네이버 블로그
학문 /
미술
23.05.27
0
0
구석기 중기에는 어떤 특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기 구석기유적(굴포리, 석장리, 빌레못동굴, 용곡 1호 동굴, 명오리, 수양개, 상무룡리, 남계리, 병산리)에서는 주로 박편석기인 긁개, 첨기(찌르개), 칼, 끝긁개(밀개), 송곳(뚜르개), 조각칼(새기개), 톱니날, 홈날, 대형석기인 주먹도끼, 박편도끼, 쵸퍼, 쵸핑-툴 등과 르발르와돌핵이 분류되고 있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7
0
0
조선시대 사람들은 목욕을 어떻게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목욕풍속은 성문화를 퇴폐시하는 유교사상이긴 하지만 청결을 중시하여 부분목욕문화가 발달한 시기이다. 조선시대에는 개별가옥에 목욕탕이 별도로 없었으며 황실에서도 세수간 나인이 목욕물을 별도로 준비해 올렸다. 궁안과 양반가의 부분목욕문화는 상이하지 않았다.-출처 문화재청
학문 /
역사
23.05.27
0
0
일제의 산미 증식 계획 목적과 방법, 결과 등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산미증식계획은 일제가 “식민지 조선에서 쌀을 증산하여 일본 내 식량문제를 해결한다”는 목적을 세우고 시행한 정책이다. 1920년대 이후 총 3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제1차 계획’은 1920~1925년에 실시된 산미증식계획(産米增殖計畵), ‘제2차 계획’은 1926~1934년에 실시된 ‘산미증식갱신계획(産米增殖更新計畵)’, ‘제3차 계획’은 1940~1945년에 실시된 ‘조선증미계획(朝鮮增米計畵)’이라고 한다. 이것을 총괄하여 일반적으로 ‘산미증식계획’이라고 부른다. 산미증식계획의 결과 식민지 조선의 농업생산 체제는 벼농사 위주로 바뀌게 되었다. 하지만 일본으로 쌀의 반출이 늘어나면서 한국인의 쌀 소비량은 오히려 감소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많은 한국인의 생활은 어려워졌다. 또한 대지주들은 쌀 생산을 통한 더 많은 이익을 얻기 위해 토지소유를 확장하는데 주력하였다. 산미증식계획은 식민지 지주제가 강화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7
0
0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영화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원사》(프랑스어: Le Jardinier)는 1895년 프랑스의 단편 무성영화로, 루이 뤼미에르가 제작하고 프랑수아 클레르크, 브누아 뒤발이 출연했다. 1895년 6월 10일 처음 상영된 이 작품은 영화사에서 여러모로 의미가 큰 작품으로, 코미디 영화의 시초이자 최초로 허구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홍보용 영화 포스터를 활용한 최초의 영화로 기록된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7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